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온라인 식품 구매 전성시대 열렸다

SSG닷컴 X 키엘 친환경 콜라보레이션 알비백 /SSG닷컴

지난해 온라인 식품 구매 빈도가 크게 늘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그야말로 온라인 신선식품 전성시대가 열린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온라인 식품 시장 거래액은 전년 동기(26조 7000억원) 대비 62.4% 신장한 43조 4000억원을 기록했다. 음식 서비스 거래액인 17조 4000억원을 제외하고, 농축수산물 구매는 6조 1000억원, 음식료품 구매는 19조 900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소비가 일상이 되면서 온라인 식품 구매가 가파르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식품 구매처로 '쿠팡'을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모바일 리서치 오픈서베이의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응답자(국내 거주 20~49세 여성)의 32.3%가 '온라인 식료품 구매처'로 쿠팡을 떠올렸으며, 뒤이어 마켓컬리(23.5%), 이마트몰(11.3%), SSG닷컴(6.1%)를 꼽았다.

 

쿠팡 로켓배송

소비자들이 쿠팡을 선호하는 이유는 '빠른 배송'을 꼽았으며, 이마트몰은 '원하는 시간대 배송', 마켓컬리는 '품질·차별화 상품 보유' 등을 이유로 밝혔다.

 

선호하는 배송 형태는 연령대와 주거 형태에 따라 갈렸다.

 

20대(41.4%)는 익일배송'과 '당일배송'을 선호했으며, 맞벌이와 직장생활로 바쁜 30대(42.6%)는 '새벽배송'을 더 선호했다. 1인가구(39.4%)는 부재중 배송시 발생하는 문제때문에 '원하는 날짜/시간대 배송'을 선호했다.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식료품은 냉장/냉동식품류가 63.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면류(57.6%), 과자류(56.4%), 생수/음료(56.2%), 가공식품류(55.2%)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가장 신장률이 높은 상품군은 베이커리와 정육 카테고리로 각각 11.8%, 10.6% 신장세를 보였다. 채소류와 수산물도 9% 이상 신장했다.

 

신선식품은 직접 보고 구매해야한다는 인식이 강해 온라인 식품 구매 비중이 크진 않았지만, 식료품의 온라인 구매 확대 영향으로 인해 신장폭은 컸다.

 

직원이 마켓컬리 차량을 소독하고 있다./컬리

이에 업계는 온라인 채널 중심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다.

 

SSG닷컴은 앞서 자체 라이브 커머스 채널 '쓱라이브'를 통해 수산업체 대표부터 이마트 미트센터장, 피코크 상품개발실 셰프까지 총출동해 품질보증 정보를 전달하며 온라인 식품 마케팅을 선보인 바 있다.

 

홈플러스는 할인 행사를 안내하는 전단을 디지털화하고 멤버십 회원 대상 서비스를 리뉴얼하는 등 온라인 서비스 개편에 나섰다.

 

또 한국야쿠르트의 경우 지난해 12월 기존 온라인몰 '하이프레시'를 개편한 온라인 통합 플랫폼 '프레딧(Fredit)'을 선보이고 유제품, 건강기능식품, 신선식품, 화장품 등을 함께 판매하고 있다.

 

한편, 온라인에서 식료품을 구매하지 않는 이유로는 '신선도 확인' 문제가 가장 컸고, '일회용 포장재 과다 문제'도 함께 지적됐다.

 

유통업계는 일회용 포장재 과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배송을 도입했다.

 

SSG닷컴은 다회용 보랭백 '알비백'을 사용함으로써 스티로폼 박스와 종이 포장재, 아이스팩 등 일회용품을 절감했으며, 마켓컬리는 모든 배송용 포장재를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바꾸는 '올 페이퍼 챌린지'를 진행 중이다. 비닐 완충재와 비닐 파우치, 지퍼백도 종이 완충재와 종이봉투로 바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