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 전역 지구단위계획 스마트폰·PC로 확인 가능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 서비스' 이용 모습./ 서울시

서울시는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 서비스' 대상지를 시 전역으로 확대한다고 2일 밝혔다.

 

'지구단위계획'은 역세권, 재개발·재건축 구역 같은 주요 부지의 건축물 용도, 용적률, 건폐율, 높이 등을 정한 도시관리계획이다. 시는 지난 2019년부터 지구단위계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문서·도면을 포함 약 11만건의 자료를 구축, 서울 전역의 '지구단위계획 온라인 열람 서비스'를 2년여 만에 완성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 언제든 클릭·터치만으로 '지구단위계획' 정보를 볼 수 있다.

 

시는 지난해 13개 자치구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이번에 대상지를 25개 자치구, 총 552구역(109㎢)으로 넓혔다. 이번에 추가된 12개 자치구는 강동·강북·강서·광진·구로·금천·노원·도봉·동대문·서대문·송파·중랑구다.

 

해당 서비스에는 재정비촉진지구, 재개발·재건축 같은 정비사업구역뿐 아니라 역세권청년주택 사업부지 등 지구단위계획과 관련된 모든 구역의 정보가 포함돼 있다.

 

서울도시계획포털에 접속해 지도에서 검색하고 싶은 주소를 입력하면 클릭 한번으로 해당 필지로 이동, 지구단위계획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관련된 고시문, 조서, 도면, 지침도 바로 내려받을 수 있다.

 

건축물, 주변 지형·지물이 담긴 지도를 통해 건축한계선, 공개공지 등 필지별 공간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항공사진도 확인 가능하다.

 

홍선기 서울시 도시관리과장은 "녹지, 공원을 제외한 서울시 시가화 면적의 30%에 적용되는 방대한 도시계획정보인 지구단위계획을 드디어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게 됐다"며 "전산화된 지구단위계획 정보는 도시계획 관련 업무뿐 아니라, 부동산 거래, 건축인허가, 관련 연구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도 시민들이 정보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