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김어준의 뉴스공장 출연한 박영선 후보, "하루에 2%p씩 격차 줄이겠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된 25일 새벽 서울 마포구 CU 홍대센타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뉴시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25일 TBS(교통방송) 아침 시사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하루에 2%p씩 여론조사 격차를 줄이겠다고 말했다.

 

진행자가 박 후보에게 여론조사 격차가 두 자리 수로 크게 벌어졌는데 이에 대한 극복 방안을 묻자 "따박따박 하루에 2%p씩 올릴 자신이 있다"며 "어제도 선거 운동 시작되자 마자 편의점 알바생하고 편의점 알바를 배우면서 했다. 그러면서 알바생으로부터 청년의 고민과 청년에 아픔에 대해 고민을 들었다. 이번 선거는 코로나19를 빨리 종식시키는 민생 시장이 돼야 한다. (오세훈 후보가) 대선 출마하려다가 안되니까 다시 시장 출마하는 나쁜 역사는 반복되면 안된다"라고 말했다.

 

오세훈 후보에 대해서는 '아이들에게 참 나쁜 후보'라며 선별 복지를 주장하는 오 후보를 정면 비난했다. "아이들의 밥그릇을 차별하는데 서울시장을 걸었던 사람 서울시민으로부터 퇴출 됐던 사람이다. 그 아이들이 지금 20대다. 차별이 있었다면 상처를 입혔을 것"이라며 "유치원 무상 급식을 세금 급식이다 하면서 시대착오적인 그런 생각들을 하고 있는데 저는 이런 낡은 행정을 하는 후보가 다시 서울 시장이 되는 것 이것은 막아야 되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된 25일 새벽 서울 마포구 CU 홍대센타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 뉴시스

이어 박 후보는 오세훈 후보의 과거 서울시장 시절, 세빛둥둥섬·광화문 광장 조성으로 서울시가 7조원에 빚을 지게 된 점과, 오 후보가 TBS 방송 지원 중단이야기를 꺼내고 있는데 이는 서울시의회에서 조례를 만들어야 할 수 있는 일이라며 방송 탄압을 시작한 것이라고 해석된다고 말했다.

 

시정 1호 공약인 '서울시민 디지털화폐 10만원 지급'에 대해서는 "서울시 잉여세금 1조 3500억원으로 서울의 경제를 진작시켜야 하고 과거 재난지원금 지급 때 소상공인의 매출이 105%까지 회복됐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보편적 재난지원금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OECD 국가의 80%가 디지털 화폐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인프라를 깔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사각지대를 파악할 수 있어 일석 삼조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 후보가 과거 시장 시절 내곡동 셀프 보상이 국장 전결 사항이라 자신은 알지 못했다는 주장에 대해서 박후보는 "거짓말이며 반드시 시장에게 보고가 들어가는 사항이며 청와대까지 보고가 들어가는 사안이다. 부하직원에게 모든 것을 뒤집어 씌우는 나쁜 후보이며 그 땅이 어디있는 건지 몰랐다고 하는 것도 다 거짓말"이라고 말했다.

 

야권에서 박 후보에게 공세를 펼치고 있는 배우자 소유 일본 주택에 관해서는 "내곡동 문제를 덮기 위한 가짜·왜곡 뉴스이며 MB 정부 시절 남편이 직장에서 쫓겨나 일본에서 장기 거주했으며 해당 주택은 지난 2월에 매매 계약서를 체결하고 등기 이전이 진전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는 마지막으로 "이번 선거는 코로나19를 빨리 종식시키고 일상을 되돌려드리는 민생시장이 돼야 한다. 소상공인에게 5000만원 무이자 대출, 창업 청년에게 5000만원 출발 자산 꿈을 이뤄드리겠다. 또한 집없는 서민에게 반값 아파트로 내 집 마련의 꿈을 실현해드리겠다"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