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안암 청년주택 둘러본 박영선..."대학가에 지으면 청년에 도움 될 것"

3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직주일체형 청년주택 '안암생활'을 둘러보고 청년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박영선 후보 캠프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는 3일 오전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안암생활'을 방문해 직주일체형 청년 주택을 둘러보고 청년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안암생활'은 20~30대 청년을 위한 '주거+창작' 맞춤형 주택으로 월세가 시세의 절반 수준이다.

 

박영선 후보는 "서울선언 6번째로 청년 직주일체형 주택 2만호 공급을 공약했다"면서 "그 샘플을 직접 보고 싶어서 오게 됐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시민들의 직장은 강남이나 강북 도심에, 주거지는 직장에서 멀리 떨어진 서울 외곽이나 경기에 있는 현재의 서울을 바꿔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이곳이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시설도 잘 돼 있고, 청년들 만족도도 상당히 높다"면서 "주변보다 50퍼센트 저렴한 월세에 교통이 편리하고 안전한 것으로 안다며 많이 배우고 가겠다"고 덧붙였다.

 

직주일체형 주거시설 논스는 강남 국지원 언덕 꼭대기에 1호점부터 5호점이 위치해있다. / 논스 홈페이지

한국에서 직주일체형 주거시설의 대표적인 예는 강남에 위치한 '논스'다. 논스는 강남 국기원 언덕 꼭대기에 위치해 같은 구역 내 5개의 호점이 타운하우스처럼 구성돼 있다.

 

흥미롭게도, 1호점은 논스 마을의 마을 회관으로 카페와 도서관을 섞어 놓은 듯한 라운지·루프탑·코워킹 공간으로 구성돼있고 2-5호점은 가정집을 개조해 만든 공유주택으로 활용하고 있다.

 

논스는 두 명의 친구가 원룸에서 살기 시작하면서 블록체인 커뮤니티로 시작해 100명까지 진화해 온 커뮤니티다. 지금은 창업가의 마을로 성장해 3년 간 40개의 스타트업이 탄생하기도 했다.

 

2일 박 후보가 청년주택 안암생활을 둘러보고 있다. / 박영선 후보 캠프

박영선 후보는 이날도 논스를 예로 들며 직주일체형 청년주택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박 후보는 "'안암생활'이 창작 및 창업을 위한 공간은 물론, 공유 경제 등을 통한 공동체로도 운영되고 있다"며 "제가 서울시장이 되면 연령별, 생애주기별 맞춤 안심주택으로 주거대전환을 통해 권역별 창업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일자리 대전환까지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자연스럽게 청년들끼리 커뮤니티가 형성 되니, 자신의 미래에 대한 많은 자산을 얻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이곳은 굉장히 바람직한 형태"라고 말했다.

 

박 후보는 "대학가가 밀집해있는 신촌, 성북, 마포구 등에 직주일체형 청년주택을 지으면 청년들에게 굉장히 도움이 될 것 같다"면서 "2023년까지 직주일체형주택을 2만호 추가 공급하고, 청년들의 월세지원 대상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2일 박 후보가 청년주택 안암생활을 둘러보고 있다. / 박영선 후보 캠프

박 후보는 안암생활 옥상에서 만난 청년과 지역인재 이야기를 한 것을 두고 "지금까지 저희가 지역형 인재라고 하면 지방대학 출신을 선호했었다. 이 청년의 경우에는 서울에서 공부하고 다시 지역으로 가고 싶은데 역차별 당하는 것 아니냐 이렇게 보시는데 어떻게 보면 이게 인식의 작은 차이다. 기성세대와 청년들의 인식의 차이가 이런데서 많이 있다는 것을 이번에 청년들을 많이 만나면서 느꼈다. 우리도 무슨 정책을 펼 때 반드시 그 정책에 해당되는 사람들과 간담회라든가 소통을 한 다음에 정책을 완성하는게 중요하다는걸 많이 느낀다"고 말했다.

 

박 후보는 이와 관련 시민 참여형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구로에서 의원 할 때 구로예산의 일부를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서 짜는 예산이 있었다. 구로구청에 시민들이 와서 스티커를 붙이게 돼있다. 가장 많이 스티커가 붙은 사업부터 시작했다. 이런 것이 반응이 좋다. 제가 서울 시장이되면 시민참여형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의지를 드러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