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축구

영국은 '신사의 나라' 인가?...맨유팬에게 인종차별 당한 손흥민

손흥민이 4월 11일 맨유와의 경기에서 골을 기록하고 있다. / 뉴시스

이제 영국을 신사의 나라로 부르면 안되는 것일까? 손흥민(29·토트넘)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전 패배 후 상대 팬들로부터 인종차별을 당했다.

 

12일(한국시간) 영국 런던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0~2021시즌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31라운드가 토트넘의 1-3 패배로 끝난 뒤 손흥민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인종차별성 댓글이 쏟아졌다.

 

손흥민은 이날 전반 33분 상대 미드필더인 스콧 맥토미니와 경합하다 얼굴을 가격당해 쓰러졌다.

 

맨유는 이 과정에서 폴 포그바의 패스를 받은 에딘손 카바니가 골망을 갈랐으나, 비디오판독(VAR)을 통해 맥토미니가 오른손으로 손흥민의 얼굴을 가격한 반칙이 잡히면서 득점이 취소됐다.

 

이에 화가 난 맨유 팬들은 손흥민의 SNS에 찾아가 인종차별 댓글을 달기 시작했다.

 

그의 인스타그램에는 "개고기나 먹어라", "DVD나 팔아라", "작은 눈으로 다시 다이빙해 봐라", "축구 선수가 아닌 한국 드라마 배우" 등의 인종차별 발언이 적혔다. 아시아인을 비하할 때 등장하는 원숭이 이모티콘도 달렸다.

 

앞서 손흥민은 EPL 선수들을 향한 인종차별이 지속하자 차별과 증오에 맞서는 의미로 일 주간 SNS 사용을 중단한 상태다.

 

맨유는 한국 축구 레전드 박지성이 2005년부터 2012년까지 활약한 클럽이다.

 

손흥민이 쓰러진 장면을 두고 조세 무리뉴 감독과 올레 군나르 솔샤르 감독도 충돌했다.

 

솔샤르 맨유 감독이 먼저 "내 아들(Son)이 3분 동안 누워있으면 밥을 안 줄 것"이라고 손흥민을 저격하자, 무리뉴 감독이 "손흥민 아버지가 좋은 사람이라 다행"이라고 반격했다.

 

한편 이날 토트넘은 전반 40분 손흥민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후반에 3골을 실점하며 1-3으로 역전패했다.

 

세계 최고의 리그가 즐비하고 민주주의가 발달된 국가들이 많은 유럽이지만 인종차별은 끊이지 않고 있다. 유럽 각 국의 국가대표 축구팀만 보더라도 비(非)백인 선수들이 활약하고 있지만 유독 인종차별을 끊이지 않고 있다.

 

흑인·아시아인·히스패닉 등 그 사례도 다양하다. 아시아인은 유럽 무대에서 띄는 다른 인종보다 현격히 적어 인종차별의 십자포화를 맞을 가능성이 높은 환경에 놓여 있다.

 

지난 2월 9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에스파뇰과 레알 마요르카의 프리메라리가 경기에선 일본 출신 선수 쿠보 다케후사의 교체 투입을 위해 그를 부르던 마요르카의 피지컬 코치가 눈을 양쪽으로 찢는 행동을 한 것이다. 해당 행동은 상대적으로 눈이 작은 동양인을 비하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박지성은 작년 7월 8일 유투브 '슛포러브' 채널에 공개된 영상에 출연해 절친이었던 테베즈도 나에게 눈을 찢는 행동을 한 적이 있다며 "눈 찢기를 동양인을 표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겠지만 그게 인종차별적 행동이라는 걸 알려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지난 2019년 11월, 우크라이나 프로축구 팀 샤흐타르 도네츠크에서 활약하는 미드필더 타이손은 디나모 키예프와 리그 경기에서 자신을 향한 상대 클럽 서포터의 인종차별행위에 손가락 욕설을 하고 골키퍼가 들고 있던 공을 빼앗아 자신에게 인종차별행위를 한 상대 서포터측 관중석을 향해 공을 차는 행동을 했다. 타이손은 이런 행동으로 곧바로 퇴장당했으며 눈물을 흘리며 경기장을 빠져나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