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올해 주요 대학 15곳, 수시에서 '수능최저' 작년보다 더 본다

2022학년도 15개 대학 수시 대학별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비율/ 진학사 제공

올해 수시 입시에서 15곳 주요 대학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비율을 10% 이상 높이면서, 15개 대학 평균 최저적용비율이 46.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의 일환으로 수도권 대학의 경우 학생부교과전형을 새로 도입하면서 최저기준을 적용하는 대학이 많았고,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최저기준을 도입한 대학들이 있기 때문이다.

 

전형별로 보면, 논술전형의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비율이 81.83%로 가장 높다. 논술을 치르는 13개 대학 중, 연세대, 한양대, 한국외대(글로벌캠퍼스), 서울시립대를 제외한 대학들이 모두 최저기준을 적용한다. 올해 15개 대학 논술전형 선발인원은 4558명으로 전년에 비해 약 1000명 가량 줄어들었기 때문에 학령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쟁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최저기준을 가진 대학은 이를 충족하지 못하는 학생들로 인해 실질 경쟁률이 크게 하락하므로 수능에 대한 기대감이 있다면 지원을 망설일 필요가 없다.

 

학생부교과전형은 10개 대학이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한다. 올해 교과전형을 도입하는 대학 중 서강대, 성균관대, 경희대가 최저기준을 적용하고 연세대와 동국대는 최저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15개 대학 중 교과전형으로 선발하지 않는 서울대를 제외한 14개 대학의 교과전형 특징은 고교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만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일선 고등학교에서는 내신 경쟁력이 높은 학생들 위주로 추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런 경우 중복 합격 가능성이 커져 충원율이 높아질 수 있다"며 "최저기준 충족에 자신이 있다면 다소 낮은 내신으로도 합격을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일반적으로 대부분 대학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연세대 학생부종합 활동우수형 및 국제형(국내고), 경희대 네오르네상스전형이 최저기준을 새롭게 도입한 것을 비롯해 15개 대학 중 6개 대학은 최저 기준을 적용해 학종으로 선발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경우 학교 내신과 비교과활동 위주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수능에 대한 대비가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로 인해 최저기준을 적용 받는 학생부종합전형은 경쟁대학들의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해 경쟁률이 낮게 나타나는 편이다.

 

우연철 소장은 "수험생이 감소한 상황이기 때문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워졌고, 특히 인문계열 모집단위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수능의 변화로 인한 영향을 받아 최저기준 충족에 좀 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시에서도 수능이 중요해졌기 때문에 어려움이 커졌다고 여길 수도 있지만, 수능에 대한 자신감이 있다면 대학들의 올해 변화를 잘 살펴 적극적인 수시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입시 #정시 #수시 #수능 #입학시험 #최저등급 #주요대학 #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