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한우·돼지 한 마리에서 고기가 얼마나 생산될까?

도체수율 기준 새로 설정…이전 조사보다 한우 85kg 돼지 14kg 정도 증가

소 대분할 부위 /농진청
돼지 대분할 부위 /농진청

농촌진흥청은 국가 단위 고기 생산량 예측에 필요한 '소·돼지 도체수율' 기준을 지난 1997년에 이어 23년만인 2020년에 새롭게 설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소·돼지 도체수율 기준은 가축 1마리에서 얻을 수 있는 고기, 지방, 뼈 등의 생산 비율을 체중·성(性)·등급 등에 다라 산정해 놓은 자료를 말한다.

 

새롭게 설정한 한우 도체수율 기준에 따르면, 평균 출하체중 696kg인 소에서 살코기량은 평균 273.4kg(거세한우 270.41kg, 수소 296.1kg, 암소 265.04kg)이었다. 주요 부위별로 보면 ▲ 갈비 53.87kg ▲ 양지 40.79kg ▲ 등심 34.80kg ▲ 안심 7.45kg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7년과 비교하면 평균 출하체중은 ('97) 506kg→('20) 696kg으로 190kg 증가했고, 고기 생산량은 1997년보다 83.21∼87.63kg(거세한우 83.21kg, 수소 87.63kg, 암소 85.6kg) 늘었다. 같은 시기 1인당 소고기 연간 소비량도 ('97) 7.9kg→('19) 13kg으로 증가했다.

 

돼지 도체수율 기준에 따르면 평균 출하체중 116kg인 돼지에서 살코기량은 평균 62.47kg(거세돼지 61.84kg, 암퇘지 63.04kg) 이었다. 부위별 고기 생산량은 ▲ 뒷다리 19.53kg ▲ 삼겹살 14.20kg ▲ 앞다리 10.83kg ▲ 목심 5.02kg이 나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1997년과 비교하면 평균 출하체중은 ('97) 102kg→('20) 116kg으로 14kg 증가했고, 고기 생산량은 1997년보다 14kg(거세돼지 14.31kg, 암퇘지 14.04kg) 정도 늘어났다. 같은 시기 1인당 돼지고기 연간 소비량도 ('97) 15.3kg→('19) 26.8kg으로 증가했다.

 

소·돼지 도체수율이 과거에 비해 많이 변화된 이유는 그동안 보증씨수소 선발·씨돼지 개량, 가축사양표준 개정, 가축 유전체 선발 기술 적용 등 가축 개량 및 사양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출하체중과 도체특성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김진형 축산물이용과장은 "이번 도체수율 기준 설정에 따라 국가기관은 고기 수급 예측을 위한 정책에 활용, 축산농가는 비육 체계 개선 및 적정 출하시기 결정, 유통업체는 도체 구입 및 판매 시 정육과 부산물 공급량 예측 자료로 각각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