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20대 이상 "49억원은 있어야 부자"..5년 전보다 17억원 늘어

성인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은 49억원으로 집계됐다. 5년 전보다 17억원이나 높아진 규모다.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는 알바몬과 함께 최근 성인 3415명을 대상으로 '부자의 기준과 재테크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응답했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얼마가 있어야 부자일까'를 묻는 개방형 질문으로 전체 응답자의 평균 응답이 49억원으로 집계됐다. 부자에 대한 눈높이는 같은 조사에서 매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2016년 조사 결과에서 부자의 기준이 평균 32억원으로 집계된 이래 2018년에는 40억원, 지난해 46억원에 이어 올해 기준이 더 높아졌다. 5년 전에 비해서는 17억원(53.1%) 높아진 셈이다.

 

연령대별 부자의 기준은 30대가 평균 52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20대와 40대에서는 48억원이 있으면 부자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부자가 되기 위해 재산을 모으는 방법으로는 '소비를 최소화한다'는 답변이 55.1%로 가장 많았다. 나머지 답변은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다. 20대의 경우 그 다음으로 '알바나 부업 등 N잡으로 일을 많이 해 수입을 늘린다'는 답변이 48.0%로 두 번째를 차지했지만 30대는 '예적금 등 저축형 상품을 이용한다'(42.8%)는 답변이 2위를 차지했다. 40대의 경우 '재테크를 한다'는 답변이 46.2%의 응답률로 두 번째 순위였다.

 

응답자 10명 중 7명(71.2%)은 목돈 마련을 위해 '현재 재테크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재테크 수단으로는 '투자형'보다 안전을 추구하는 '저축형'을 선택한 응답자가 많았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재테크 수단에 대한 질문(복수응답)에는 '예·적금 등 저축형 금융상품을 이용하고 있다'는 응답자가 72.8%로 가장 많았다. 이 같은 답변은 20대(75.5%), 30대(71.2%), 40대(67.9%)로 전 연령대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주식투자를 통해 재테크를 하고 있다'는 응답이 43.0%를 차지했다. 이어 '펀드 등 투자형 금융상품을 이용한다'는 응답은 22.5%였다.

 

40대 중에는 '부동산을 통해 재테크한다'는 응답자가 22.6%로 30대(18.8%)나 20대(4.2%) 보다 많았고 20대(13.6%)와 30대(13.5%) 중에는 '중고거래를 통해 재테크한다'는 응답자가 40대(7.2%)보다 많았다.

 

재테크에 성공하기 위한 방안(복수응답)으로는 '용도별로 자금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50.6%로 가장 많았고 '수시로 최신 경제정보를 찾아봐야 한다'(46.6%), '신용카드의 사용을 줄인다'(30.0%), '가능한 일찍 내 집 마련을 해야 한다'(21.0%) 등의 답변 순이었다.

 

이 가운데 '가능한 일찍 내 집 마련을 해야 한다'는 답변은 20대(18.5%)보다 30대(22.8%)와 40대(25.4%)의 응답률이 높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