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Fun&Joy>사주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어머니

image

'어머니'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과 의미는 다른 해석이 필요치 않은 유일한 단어가 아닐까 싶다. 사무침으로 다가오기도 하고 그리움을 담은 공경 그 자체이다.

 

사람다운 것에 우선적 가치를 두었던 그래서 출세보다는 '바름'을 가르치는 것에 더 의미를 두었던 시절에는 어머니의 희생과 가르침은 마치 길 잃은 나그네에게 있어 밤하늘에 빛나는 북극성과도 같았다. 인생을 살아가다 지치고 포기하고 싶은 심정이 들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어머니의 미소 짓는 얼굴이다.

 

자식을 안심시키듯 지긋이 바라보는 모습이 떠오른다. 어떤 때는 어머니의 손을 잡고 폴짝 폴짝 뜀걸음을 걸었던 모습이 떠오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전통적 어머니상은 설 자리가 없어지는 것만 같다.

 

현대적이고 똑똑한 엄마들은 자식을 경쟁에서 뒤떨어지지 않게 온갖 정보에 빠삭하여 수학은 어느 학원 영어는 어느 선생이 있는 곳엘 다녀야 하고 어떤 애들이랑 친구를 해야 하는 지를 다 조정할 줄 아는 엄마를 능력 있는 엄마라고 치부하는 듯하다.

 

나름 똑똑하다는 엄마들일수록 헬리콥터맘이니 서커맘이니 하는 소릴 듣는 것인데 이제는 당연한 교육풍토가 되어져 시류에 맞춘 교육정보를 얻기 위해 받는 교육컨설팅은 한 시간에 몇 십만 원을 주어야한다고 들었다. 시절이 척박해지고 경쟁구조가 심해진 환경인 것을 인정하긴 해야 한다.

 

이런 시대에 옛날 어머니상이 그립다고 말하면 오히려 냉소를 받을 수 있는 시대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아직도 필자의 뇌리 속에는 뭔가 선생님께 억울하게 야단맞았다고 생각될 때도 오히려 선생님 편을 들며 필자를 애틋하게 쓰다듬던 어머니의 말씀이 더욱 여운을 준다.

 

우리의 어머니는 선생님의 인격을 믿으셨던 거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