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카카오뱅크, 1분기 순익 467억원…"중금리 대출 공급 확대"

-1분기 순이익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

 

-"50대 이상 이용자 비중 15%로 확대"

 

-금융권 모바일 앱 이용자수 1위 유지

 

/카카오뱅크

-증권계좌개설·연계대출·신용카드모집 등 금융플랫폼 비즈니스 성장세 카카오뱅크의 올해 1분기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금융권 내 1위 모바일 트래픽을 기반으로 뱅킹과 플랫폼 비즈니스 부문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

 

카카오뱅크는 1분기 순이익이 4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2.4% 증가했다고 17일 밝혔다.

 

순이자이익은 1296억원, 비이자부문의 순수수료 이익은 132억원이다. 카카오뱅크가 1분기에 고객을 대신해 지급한 CD·ATM 비용은 136억원이다.

 

1분기 말 기준 총 자산은 28조6164억원이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9.85%다.

 

지난 3월 말 기준 이용자수(계좌 미개설 서비스 이용 고객 포함)는 1615만명으로 2020년 말 대비 70만명 가량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 이용자가 늘면서 카카오뱅크 이용자층이 전 연령으로 확대됐다. 50대 이상 인구 가운데 11%는 카카오뱅크 이용자였으며, 카카오뱅크 전체 이용자에서 5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15%로 2017년 7월 대고객 서비스 시작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실제 이용 여부를 가늠해볼 수 있는 기간당 모바일 앱 이용자수에서도 1위를 유지했다. 닐슨코리안클릭은 3월 한달 동안 카카오뱅크 앱 순이용자(MAU)를 1335만명으로 추산했다.

 

올해 1분기에 카카오뱅크를 거쳐 이체된 금액은 79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49조3300억원 대비 60% 늘었다. 3월말 기준 수신 잔액은 25조391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1조8520억원 증가했다. 요구불예금의 비중은 57%다.

 

여신 잔액은 전년 말 대비 1조2920억원 증가한 21조6050억원으로 집계됐다. 고신용자 대상 상품 잔액이 감소한 반면 월세보증금 대출과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공급은 증가했다.

 

연체율은 전년 말 대비 0.01%포인트 하락한 0.21%다.

 

/카카오뱅크

플랫폼비즈니스 부분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한국투자증권과 NH투자증권, KB증권의 계좌를 빠르게 개설할 수 있는 주식계좌개설 신청 서비스는 지난해 말 누적 300만좌를 돌파했다. 1분기에는 61만4500좌가 카카오뱅크를 통해 새로 개설됐다.

 

제2금융권의 대출 서비스를 연결하는 연계대출은 누적금액이 지난해 말 2조원에서 3월 말에는 2조5300억원으로 확대됐다. 체크카드 이용자 및 결제 실적, 제휴 신용카드 신청 서비스 이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중금리 대출 확대를 통해 금융 포용을 강화하고, 플랫폼 부문에서는 금융회사뿐 아니라 비금융사와도 연결을 확대해 생활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