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文, 워싱턴 DC '추모의 벽' 착공식 참석…참전 용사 추모하며 한미동맹 재강조

문재인 대통령이 21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한국전 참전기념비 공원에서 열린 한국전 전사자 추모의 벽 착공식에 참석해 축사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 '추모의 벽'을 찾아 한미 동맹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에서 '미 한국전 전사자 추모의 벽' 착공식에 참석했다.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부 장관, 황기철 국가보훈처장, 틸럴리 한국전 참전용사 추모재단 이사장, 래리 호건 메릴랜드 주지사, 이수혁 주미대사, 한국전 참전용사 및 유가족, 현지 교포 등 250여 명과 함께했다.

 

추모의 벽은 '기억의 못' 둘레에 화강암 소재로 된 높이 1미터, 둘레 50미터 벽을 설치하는 형태로 지어진다. 벽면에는 미군 및 카투사 전사자 4만3769명의 이름과 유엔참전국 수와 부상자 수를 새겨 넣을 예정이다.

 

추모의 벽은 6·25전쟁에서 헌신한 참전용사에 대해 감사와 한미 간의 우호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국가보훈처가 추진 중인 유엔 참전기념시설 지원 사업으로 추진됐다. 2016년 10월 7일 미국 상원에서 '추모의 벽 건립법'을 통과한 후 성금 모금과 한미 양국 각계에서 다양한 노력을 이어왔다.

 

문 대통령은 2019년 현충일 추념사와 2020년 6.25전쟁 70주년 기념사에서 2022년까지 추모의 벽을 완공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추모의 벽을 조속히 건립하기 위해 지난해와 올해 예산 2420만 달러(274억원) 중 대부분인 2360만 달러(266억원)를 부담했다.

 

추모의 벽은 한미동맹의 새로운 상징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참전용사 기념공원은 미국 정부와 국내 기업이 조성한 곳으로, 1995년 故 김영삼 전 대통령과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기념비 제막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이날 행사에는 공원에 조성된 6·25에 참전한 미군 19명이 판초 우의를 입고 정찰을 벌이는 모습을 표현한 동상의 모델 중 한 명인 웨버 예비역 미 육군대령이 참석해 의미를 더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참전용사 및 전몰장병 유가족과 추모의 벽 건립을 추진한 관계자에 감사와 격려를 전하며, 한미 동맹을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