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새벽을 여는 사람들] "메트로신문으로 하루를 열어요"

배포 도우미 고용호 씨가 아침에 출근하는 시민들에게 메트로신문을 나눠주고 있다. /손진영 기자

"아침 일찍 나와서 두어시간 잠깐 일하고 나면 하루의 시작이 보람되고 기운 나요. 하루의 시작을 메트로 신문과 함께하는 셈이죠."

 

지난 해 1월부터 메트로 신문 배포 일을 하고 있는 고용호 씨는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초록색 메트로 신문 유니폼을 입게 됐다.

 

서울복지관에 오랜 기간 자원봉사 활동을 한 그는 복지관의 연계로 메트로신문 배포 활동에 참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가 신문 배포를 맡은 장소는 5호선 광화문역. 출근 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역사 내에 보관해두었던 장소에서 신문가판대를 꺼내 시민들이 많이 오가는 역 앞에 설치하는 것이다.

 

배포 도우미 고용호 씨가 인터뷰에 대답하고 있다. /메트로 손진영

"오전 7시에 가판대를 꺼내놓으면, 나눠주지 않아도 직접 가져가는 게 더 많아요. 8시까지는 신문 소진이 빠르게 되는 편이죠. 그러다가 9시가 가까워지면 출근 시간이 다가오니까 서둘러서 가는 사람이 많다보니 그 때는 직접 나눠주기도 합니다."

 

전량 소진되는 날이 대부분이지만, 날이 궂을 때는 조금씩 남기도 한다고. 비나 눈이 오는 날에는 더욱 신경을 써서 신문 배포 작업을 한다.

 

고 씨는 "신문이 젖지 않게 비닐포장한 채로 가판대를 들고 나가고, 그런 날은 조금 더 서둘러서 움직인다"며 "보통은 먼저 알아서 신문을 가져가시는데, 아무래도 날이 궂으면 신문 배포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춥거나 더워서 일이 힘든 것보다 신문이 남을 때 속상함이 더 크다"고 덧붙였다.

 

"지금도 그렇지만, 메트로 신문이 한창 잘나가던 때는 조금만 늦어도 가판대에 신문이 아예 없었어요. 다들 일찍 가져가버리니까요. 우리 세대는 전부 종이신문을 들여다보고 거기에서 정보를 얻었으니까 무료인 메트로신문이 가장 인기였죠."

 

배포 도우미 고용호 씨가 인터뷰에 대답하고 있다. /메트로 손진영

고 씨는 지금도 메트로신문을 읽는다. "아무리 모바일로 신문을 읽는 시대라해도 사람들이 메트로신문을 가져가는 것을 보면 볼거리가 많은가 보다 싶다"면서 "종종 신문을 가져가시는 분들이 유일한 무료 신문이라며 응원해주시는데 그럴 때 힘이 나면서 자부심이 느껴진다"고 전했다.

 

배포를 마친 9시 이후에는 신문가판대를 다시 역 내 보관소에 가져다놓는다. 오전 시간 짧게 일하고 난 뒤 집에 돌아가는 발걸음은 가볍다.

 

메트로신문 배포 도우미로 일하기 전에는 무료했던 일상이 180도 바뀐 것이다.

 

"나이가 여든이 다 되었는데, 다른 데에 일할 곳이 어디 있겠어요. 그런데 오전에 일도 하고, 쉴 시간도 많고 너무 좋죠. 코로나 때문에 외부 활동도 못하는데 이보다 좋은 기회가 어디있겠어요? 메트로신문이 앞으로도 오래오래 시민들의 사랑받으면서 꾸준히 발행되기를 바랍니다."

 

서울 시민들의 아침을 함께하는 메트로신문은 지난 2015년 11월 '뉴메트로 선언'에 이어 2018년 3월 유료신문 '메트로경제' 동시발행 등을 통해 다양한 경제뉴스를 발굴하며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있다. 메트로신문은 10대 청소년부터 중·장년 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독자층을 이루고 있는 만큼 정치·경제 뉴스를 전진 배치하면서도 신문의 제일 뒷면부터는 문화·스포츠·라이프 등을 배치해 최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메트로경제는 인공지능(AI) 앵커의 뉴스 제공(유튜브 방송)은 물론, 서울의 시내버스(6000대)에서 만날 수 있는 얍(Yap) TV에 속보뉴스를 제공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