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국형 참사에 애꿎은 시민만 목숨을 잃었다.
철거 현장에 있어야 할 감독자인 관리자도 없었고 작업자와 신호수는 붕괴 신호가 감지되자 자리를 피한 정황도 나왔다.
광주 동구 한 공동주택 재개발구역 철거현장에서 무너진 건물이 도로와 시내버스를 덮치면서 9명이 숨지고 8명이 크게 다쳤다. 9일 오후 4시 22분께, 광주 동구 학동 4구역 주택 재개발사업 근린생활시설 철거현장에서 지상 5층 규모 건물이 무너졌다. 시내버스를 뒤따르던 승용차들은 차를 멈춰 가까스로 피해를 피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버스와 함께 매몰된 탑승자 17명 중 9명(여성 7명·남성 2명, 10대~70대, 대부분 뒷좌석)이 숨졌고, 8명은 크게 다쳐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무너진 건물 잔해에서 발견된 54번 버스는 상부가 짓이겨진 모습이었다.
이번 참사는 허술한 철거 공사와 안전불감증 속에서 일어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당 건물 철거 공사는 굴삭기가 위에서 아래로 허무는 방식(탑다운 공정)으로 이뤄졌다. 철거 대상 건물 뒤편에 폐자재 등을 쌓아 올렸고, 폐자재 더미에 굴삭기가 올라앉아 남은 구조물을 부쉈다. 이 경우 수평 하중이 앞쪽으로 쏠릴 수밖에 없어 구조 안전 분석이 선행됐어야 한다고 전문가는 말한다.
철거 현장 바로 옆은 사람과 차량이 다니는 인도·차도였다. 전조 현상(특이 소음 발생)이 있었는데도 인도만 통행을 통제하고 차량 통행을 막거나 최소화하지 않은 점, 허술한 가림막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사고수습대책본부장인 임택 동구청장은 10일 '붕괴 당시 현장에 감리자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감리자는 현장에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같은 취지로 '감리 부재'를 재확인했다.
경찰은 철거 업체 관계자와 목격자들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기존에 철거했던 잔해를 쌓아둔 곳에 굴삭기가 올라 타 5층 정도 높이에서 허무는 방식으로 철거가 이뤄진 점, 철거 현장 바로 옆이 인도·차도인 점 등으로 미뤄 정교한 안전 조치를 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
특히 붕괴 조짐이 일자 작업자와 신호수들이 현장을 대피했던 것으로 보고 시공사와 철거업체를 상대로 안전 수칙 준수와 업무상 과실 여부 등에 대한 수사를 벌인다.
경찰은 10일 오후 1시께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 현장 감식에 나선다.
학동 4구역 주택재개발사업은 지난 2017년부터 학동 633-3번지 일대 12만 6433㎡에 지하 3층, 지상 29층, 19개 동, 2314세대 규모로 추진 중이다. 시공사는 ㈜현대산업개발로 지난 2018년 2월 주택개발정비사업조합으로부터 4630억9916만원에 사업을 수주했다. 조합원수는 648명이다.
이 사업은 지난 2018년 7월 관리처분인가를 거쳐 현재 기존 건축물 철거 작업이 진행 중이며 철거 공정률은 90%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 권순호 대표가 10일 새벽 현장을 찾아 유족과 시민들에게 사과했다.
권 대표는 이날 오전 광주 동구 학동 재개발 구역을 찾아 "일어나지 않아야 할 사고가 발생해 아직도 마음이 떨리고 있다"며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과 유족, 부상자들에게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죄송한 마음 뿐이다"라고 이야기했다.
최고 책임자인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도 10일 오전 광주시청 5층 브리핑룸서 공개 사과와 함께 고개를 숙였다.
정 회장은 "이번 사고에 대해 진심으로 사죄드리며,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회사는 이번 사고 피해자와 유가족분들의 피해 회복, 조속한 사고 수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광주 붕괴사고 관련 "희생자를 지원하고 철저하게 책임을 규명하라"고 지시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사고 현장 상황을 확인한 후 유족과 부상자들을 만나 위로를 전할 예정이다.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9일 오후 11시 30분게 현장을 찾아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할 것"을 지시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10일 새벽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사고현장에서 모든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서 단 한분이라도 더 살리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는데 너무나 소중한 시민 아홉 분을 잃었고, 또다른 여덟 분은 병상에서 크나큰 고통을 겪고 계십니다"라며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재발되지 않도록 국토부 경찰청 등과 함께 철저하게 사고원인을 조사하여 엄정하게 책임을 묻고, 하청 등의 제도개선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지역구인 광주 동구의 이병훈 의원은 9일 페이스북에 "있어서는 안될 일이 발생했다"며 "다시는 이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업, 건설현장 안전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