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닻 올린 '카카오손보'…보험업계 뒤흔들까

금융위, 카카오손보 예비허가 의결
DIY보험, 플랫폼 연계 보험 출시 전망

카카오페이 CI. /카카오페이

카카오손해보험의 시장 진출을 앞두고 보험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을 통해 유입된 고객이 카카오손보의 보험 상품 유입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지난 10일 금융위원회는 카카오손보의 보험업 예비허가를 의결했다. 카카오손보가 ▲자본금 요건 ▲사업계획 타당성 ▲건전경영 요건 등의 모든 조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카카오톡 대화방에서 단체여행자 보험 가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 비대면으로 디지털 보험 상품 가입이 가능해진다.

 

향후 카카오손보는 보증보험과 재보험을 제외한 손보업의 보험종목 전부를 취급하는 통신판매전문회사(디지털보험사)로 운영될 예정이다. 기존 보험사가 아닌 신규 사업자가 통신판매전문보험사 예비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캐롯손보와 교보라이프플래닛에 대한 인가는 기존 보험사의 자회사 형태였다.

 

카카오손해보험 사업계획 주요내용. /금융위

금융위에서는 카카오손보가 소비자 편익을 높이고 보험산업 경쟁·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카카오그룹이 보유한 디지털 기술·플랫폼과 보험서비스를 연계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손보가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따르면 ▲지인과 함께 가입하는 동호회·휴대폰파손 보험 ▲카카오연계 어린이보험 ▲카카오모빌리티 연계 택시안심·바이크·대리기사 보험을 비롯한 DIY(Do It Yourself)보험과 플랫폼 연계 보험 등을 시작으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카카오톡·카카오페이를 통한 간편 가입, 플랫폼을 통한 간편 청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속한 보험금 지급 심사 등 보험 가입·청구 편의성도 높인다는 전략이다.

 

카카오손보는 향후 6개월 이내에 허가요건인 자본금 출자·인력 채용·물적설비 구축 등을 이행한 후 금융위에 본허가 신청을 할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연내 본허가를 목표로 일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험업계에는 카카오손보가 단기간에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내다보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가속화된 보험업계의 '디지털화'에 카카오손보가 속도를 더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보험사들의 새로운 고객층으로 떠오른 2030세대를 선점해 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카카오손보가 사업계획서에서 밝힌 DIY보험 출시가 2030세대 고객을 선점하기 위한 상품이라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기존 보험업계에서도 DIY보험은 2030세대 고객을 잡기 위한 미끼 상품으로 활용돼 왔기 때문이다. DIY보험은 기존 미니보험에서 개인에게 필요한 보장만을 선별한 맞춤 형태의 보험이다. 보험사 입장에서는 비교적 적은 보험료로 상품 수익성은 낮지만, 미래 잠정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져 왔다.

 

손보업계에선 카카오손보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한다. 다양한 상품 등장 등 시장의 메기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

 

손보업계 관계자는 "다른 회사도 아닌 카카오가 보험업계에 뛰어든다고 하니 금융업계를 넘어 전체적으로 관심이 높다"며 "카카오손보의 돌풍이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에선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카카오손보가 비대면 분야에서 기존 보험사들보다 강점을 지니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손보업계가 작은 분야가 아니고 이미 주요 손보사가 상위구조를 고착화 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메기 역할을 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그는 "카카오손보의 예비허가 의결에는 금융위도 카카오손보에 기대하는 역할이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