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수제맥주 시장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색 컬래버 맥주가 성장을 주도하며 M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이다.
편의점 CU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출시한 차별화 상품들이 잇따라 히트를 치며 전체 주류 매출이 전년 대비 35.5%나 크게 오르며 역대 최고 매출액을 기록했다.
실제, CU의 주류 연도별 매출신장률을 살펴 보면, 수입맥주가 절정에 올랐던 2017년 21.0%에서 2018년 9.9%, 2019년 12.3%로 다소 주춤하다 코로나19로 홈술 트렌드가 확산된 2020년 17.8%로 반등했으며 올해(1월~6월 20일) 35.5%로 정점을 찍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위탁생산으로 대량 공급이 가능해진 곰표 밀맥주는 물량이 확대된 지 단 이틀 만에 기존 대형 제조사의 스테디셀러들을 제치고 CU의 전체 맥주 매출 1위에 등극했고 생산량이 판매량을 못 쫓아가 증산 이후에도 두 차례나 더 발주 정지됐다. 곰표 밀맥주는 20일부터 다시 판매 재개 됐다.
여기에 지난주 후속으로 출시한 백양BYC 비엔나라거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해당 상품 역시 이색 상품으로 주목 받으며 2회차 발주 만에 초도 물량 약 40만 개가 모두 소진됐고 판매 3일 만에 80%가 넘는 판매율을 보이고 있다.
1980년대에나 볼 수 있었던 BYC의 백양을 전면에 배치한 수제맥주로 MZ세대의 레트로 감성을 제대로 저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BGF리테일 송영민 음용식품팀장은 "최근 편의점은 새롭고 이색적인 주류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현대판 주막으로서 애주가들의 입을 즐겁게 하고 있다"며 "고객들의 다양한 음주 취향에 맞는 상품과 마케팅으로 편의점계의 주류 명가로 독보적 입지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GS25도 다양한 수제맥주를 순차적으로 선보이며 수제맥주 시장 개척에 앞장서왔다.
2018년 랜드마크 시리즈 1탄'광화문에일'을 선보인 이후, 2년 10개월만에 랜드마크 시리즈 5종의 누적 판매량이 1000만개를 돌파했다. 랜드마크 시리즈는 '광화문에일', '제주백록담에일', '경복궁에일', '성산일출봉에일', '남산에일' 5종으로,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랜드마크 명칭 관련 스토리텔링을 결합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수제맥주 선택지를 제공함으로서 지속적인 판매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수제맥주는 전년대비 445% 이상 신장을 보였다.
올해는 복고를 콘셉트로 한 '금성맥주'와 북유럽 아웃도어 브랜드 '노르디스크'와 컬래버한 '노르디스크맥주'로 수제맥주 라인업을 강화했다. '노르디스크맥주'는 출시 이틀 만에 초도물량 60만개가 다 팔릴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
세븐일레븐도 하절기에 접어들면서 수제맥주 매출이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달(1~13일) 수제맥주 매출은 전년대비 204.1% 증가했다. 세븐일레븐 국산맥주에서 수제맥주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18년 2.5%에 불과했지만 2019년 7.5%, 2020년 10.9%를 넘어 올해는 14.3%까지 올라선 상태다.
6월 세븐일레븐 수제맥주에서 가장 판매가 높은 상품은 지난 3월 선보인 '쥬시후레쉬맥주'다. '쥬시후레쉬맥주'는 라거 타입의 수제맥주로 쥬시후레쉬 껌 원액을 그대로 담아 향긋한 과일향과 청량감이 특징이다. '쥬시후레쉬맥주'는 6월 수제맥주 판매 1위에 올라 있으며 지난해 11월 출시한 수제맥주 '유동골뱅이맥주'는 3위에 이름을 올리며 꾸준한 인기를 과시하고 있다.
편의점 수제맥주가 대세로 올라서자 세븐일레븐은 이달 말 '스피아민트맥주' 출시를 예고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색 컬래버 수제맥주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특히 MZ 세대 소비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만큼 해당 소비층의 취향을 저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이미 자리잡은 홈술 문화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개성있는 디자인과 새로운 맛을 추구하는 MZ세대를 겨냥한 수제맥주 출시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