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글로벌 지역별 차별화 전략이 결실을 맺고 있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내연기관이 가진 환경적 한계를 넘고 친환경차 시장의 빠른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의 생산 및 기술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덕분에 국내는 물론 유럽과 동남아, 북미 시장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전동화 모델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을 적용한 모델을 선보이며 경쟁력을 확보한 현대차·기아는 유럽 전기차 누적 판매량 20만대를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는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핵심 시장인 유럽 시장 공략에 집중한 결과다.
현대차·기아는 유럽 시장에서 지난 5월까지 총 22만7919대(현대차 13만1719대, 기아 9만6200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10월 누적 10만대를 달성한 데 이어 1년 만에 20만대를 넘어섰다. 지난 2014년 쏘울EV로 유럽에서 전기차 판매를 시작한 이후 7년 만의 성과다.
2014년 662대에 불과했던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판매량은 2017년 처음으로 연간 1만대를 넘겼다. 2018년 코나EV와 니로EV가 투입되면서 매년 2배씩 증가하며 지난해에는 9만5917대를 판매했다. 올해 역시 지난달까지 전년 동기 대비 99.5% 늘어난 4만3965가 판매돼 처음으로 연간 10만대 판매를 넘어설 전망이다.
차종별로는 코나EV가 누적 판매 9만1302대를 기록해 가장 많았다. 이 외에는 니로EV(5만8,774대), 아이오닉(구형)EV(4만3대), 쏘울EV(3만7,426대) 순으로 많이 팔렸다. 아이오닉5는 유럽시장에서 지난달 처음으로 414대가 판매됐다. 유럽에 배정된 3000대 물량이 사전 예약 첫날 완판된 바 있다.
하반기에는 아이오닉5에 기아의 전용 전기차 EV6도 가세해 판매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기아 EV6 역시 유럽에서 사전예약 7300대를 기록했다. EV6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잠재 고객만 2만6000여명에 달한다.
또 일본 완성차 브랜드가 장악하고 있는 동남아 시장에서는 현지화 전략을 통해 빠르게 판매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올해 1∼5월 베트남 합산 판매량은 4만7860대로 도요타(2만4112대)의 약 2배에 달했다.
현대차는 2만4420대로 도요타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고, 기아는 2만3440대로 3위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처음으로 베트남 자동차 시장에서 판매 1위를 차지한 이후 올해 들어서는 지난 4월부터 2개월 연속 월별 판매량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도 현대차가 도요타를 꺾고 1위로 올라설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베트남 현지 공장에서는 그랜드 i10, 엑센트, 아반떼, 코나, 투싼, 싼타페, 포터 등이 생산되고 있다. 베트남이 동남아시아에서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 이어 네 번째로 큰 자동차 시장인데다 연간 시장 규모도 작년 33만4000여대까지 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현대차·기아의 판매 성장세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달 현대차·기아가 월 판매량 1위를 기록한 인도 역시 세계 2위의 인구 수를 바탕으로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한 만큼 잠재력이 높은 시장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인도에서 합산 판매량 3만6501대를 기록하며 마루티스즈키(3만2903대)를 처음으로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올해 1∼5월 누적으로는 현대차가 23만208대를 판매해 마루티스즈키(59만8748대)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기아는 8만2019대를 판매해 3위인 타타(12만4135대)에 이어 4위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연내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으로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사업(BaaS·Battery as a Service)과 전기차 금융 지원 사업을 확대하며 전기차 대중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북미 시장도 현지화 모델로 판매량 확대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가 미국에서 소형 픽업 '싼타크루즈' 양산에 돌입했다. 그동안 약점이었던 픽업트럭 시장에 진출하면서 현지 점유율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은 앨라배마에 있는 공장에서 2022년형 싼타크루즈 양산에 돌입했다. 이르면 9월부터 고객에게 인도할 예정이다. 픽업트럭 차량은 미국에서 지난 2019년 310만대가 팔릴 정도로 인기가 좋다. 전체 판매 자동차 중 픽업트럭 비율은 17.7%에 달한다. 교외 지역에서의 단독주택 생활이 흔하고, 인건비가 높아 물건을 직접 운송하는 북미지역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앞서 기아는 북미 전용 대형 SUV 텔루라이드로 흥행몰이 중이다. 텔루라이드는 2019년 3월 미국에서 출시한 이후 18만 대 이상 판매되며, 미국 SUV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텔루라이드는 출시 이후 줄곧 월 5000~7000대 가량 판매됐다. 코로나19 이후 현지 공장 셧다운 등 악재가 겹치면서 판매량은 감소했지만 최근에는 생산 재개 등으로 판매량이 상승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기아의 텔루라이드에 이어 현대차 싼타크루즈 출시로 현지 시장 경쟁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가) 단순히 잘만든 차량을 세계 시장에 출시하는 것보다 현지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춘 전략형 모델을 출시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유럽의 경우 전기차 판매 확대를 위해 현지 인프라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