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바드가 뭔가요?" 이화의료원이 알려주는 '슬의생' 궁금증

tvN 인기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 속 율제병원 흉부외과 김준완 교수(정경호 역)가 말하는 '바드'는 대체 뭘까? 이 단어는 드라마 속 김 교수가 본과 3학년 장홍도에게 흉부외과 전문 용어를 계속 질문하는 가운데 등장한다. 실제로 슬의생 드라마 제작을 지원하고 있는 이화의료원에 따르면 바드는 '심실보조장치'로 코로나19 위중환자에 쓰이는 에크모와는 다르다. 이대서울병원 흉부외과 류상완 교수(사진)와 함께 드라마 속 흉부외과에 대한 궁금증을 함께 풀어봤다.

 

-'바드'란 무엇인가요?

 

"바드(VAD)는 'Ventricular Assistant Device'의 약자로 쉽게 '심실보조장치'라고 부릅니다. 심실보조장치는 심실에 직접 소규모의 인공펌프를 부착한 후 수축기능이 저하된 심실로부터 직접 혈액을 뽑아내서 다음 단계의 부분으로 분출합니다. 인공펌프를 부착한 심실의 위치에 따라 좌심실보조장치(LVAD), 우심실보조장치(RVAD), 양심실보조장치(BIVAD)가 있습니다. 이밖에도 심부전이나 심인성 쇼크 등 심실 기능이 저하됐는데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로 호전이 없는 경우, 환자 상태나 치료 방침에 따라 에크모, IABP 등 '기계적 순환보조장치'를 활용합니다."

 

- 소아바드랑 성인바드는 뭐가 다른가요?

 

"대부분 심실보조장치는 심장이식을 대기하는 동안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최근 개발된 심실보조장치의 경우, 심실벽에 직접 부착돼 체내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간 부착해 생활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단, 체구가 작은 소아는 체내에 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할 수 없어 체외형으로 유지하고, 반드시 심장이식을 시행해야 합니다."

 

- 율제병원 김준완 교수는 심장이 뛰는 모습을 처음 보고 흉부외과에 가겠다고 결심했다고 합니다. 교수님은 왜 흉부외과를 선택했나요?

 

"저 역시 드라마 속 준완처럼, 흉부외과 교수님의 호출로 수술장에 들어가서 뛰는 심장을 만져본 적이 있습니다. 그때 느꼈던 심장 박동을 잊지 못해 저는 애초 지망했던 정형외과 대신 흉부외과, 그것도 심장 파트를 선택했습니다. 사실 전 그 교수님이 저에게만 특별한 기회를 주신 것으로 생각하고 감동했는데, 알고 보니 흉부외과에서 후임을 데려오기 위한 '영업 비법'이었습니다. 이후 저 역시 인턴들에게 해당 방법을 사용해 흉부외과로 올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흉부외과가 인기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수련 과정이 너무 어렵고 힘든데다, 혼자 수술하는 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공의를 마쳐도 전임의 등 추가 수련 기간을 거쳐야 합니다. 흉부외과 전문의, 전공의 수가 많지 않다보니 대학병원의 교수나 종합병원 흉부외과 과장이 되었다 하더라도 거의 평생 당직을 비롯한 모든 업무를 스스로 해야 합니다. 또한 흉부외과 교수는 대학병원을 떠나 흉부외과 전문 분야를 살려 개업을 하기 어려운데요. 간혹 정맥류, 동정맥류, 다한증 등 주제로 개업하는 흉부외과 전문의들이 있긴 하지만 이는 소수입니다."

 

- 그럼에도 흉부외과 교수로서 보람을 느낄 때는?

 

"심장수술을 받는 환자, 보호자분들이 퇴원 후 첫 외래에 오셔서 꼭 하는 말이 있습니다. "교수님, 살려주셔서 감사합니다."입니다. 여든이 넘은 분들도 허리를 꾸벅 숙여 인사를 하십니다. 그분들 얼굴에서 안도감이 볼 때, 말씀과 몸짓에 담긴 한없는 진심과 신뢰를 느낄 때, 흉부외과 의사로 살아가는 것이 참 행복한 일임을 다시 깨닫습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