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이낙연, 대선 출마 선언…"내 삶 지켜주는 대한민국 만들겠다"

이낙연 의원이 5일 오전 자신의 유튜브 채널 이낙연TV를 통해 대선 출마를 비대면으로 선언했다. / 이낙연TV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예비경선 후보는 5일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출마 선언에서 이낙연 후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 불공정·불평등 완화 등을 약속했다.

 

최근 코로나 19 확산 상황인 만큼 유튜브 채널 '이낙연TV'에 8분 40초가량의 영상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낙연 후보는 ▲신복지 ▲중산층 경제 ▲헌법 개정 ▲연성강국 신외교 ▲문화강국의 꿈 등 현안별 공약에 대해 소개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을 '소리 없는 전쟁'이라고 표현한 이 후보는 "노동자, 농어민 모두 힘겹고, 청년의 취업 문턱은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다. 힘겨운 국민을 더 따뜻하게 보살펴야 한다"며 "많은 사람이 삶을 불안해하고, 삶을 위협하는 요소가 엄청나게 늘었다. 모든 위협으로부터 국민 한 분 한 분의 삶을 국가가 보호해 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출마 선언에서 자신이 민주당 적통 후보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 등 전·현직 민주당 출신 대통령을 자신의 '학교'라고 표현한 뒤 "저는 그분들로부터 정치를 배우고, 정책을 익혔다"고 말했다.

 

이어 "(그분들에게 배운 덕분에) 정치와 정책의 문제가 무엇인지도 알게 됐다"며 "좋은 철학은 든든하게 계승하되, 문제는 확실하게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지지층뿐 아니라 중도층 섭외까지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되는 대목이다.

 

이 후보는 또 출마 선언에서 5개의 국정운영 철학 비전을 제시했다. '신복지'에 대해 그는 "누구나 인간으로 최저한의 삶은 보장받아야 하는 것이 신복지의 출발"이라며 "소득뿐 아니라 주거·노동·교육·의료·돌봄·문화·환경에서도 최저한의 삶을 보장할 책임을 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2030년까지는 모든 국민이 지금의 중산층 수준으로 살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지향하겠다"며 아이 돌봄 서비스 및 지하방·옥탑방·고시원(지옥고) 개선 방침도 밝혔다.

 

이 후보는 "중산층이 두터워야 불평등이 완화된다"며 현재 57% 수준인 중산층 규모를 70%로 확대할 것이라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와 관련 그는  IT, 바이오, 미래차, AI 등 첨단기술 분야 육성을 통한 일자리 확충,  그린 산업 활성화, 돌봄 등 사회서비스 확대 등을 공약했다.

 

이 밖에 이 후보는 "이제 내 삶을 지켜주는 정치로 발전해야 한다"며 헌법 개정도 공약했다. 개정 헌법에는 사회경제적 민주주의 강화, 생명·안전· 주거권 신설, 토지 공개념 도입, 수도권·지역 균형발전 등을 담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출마 선언에서 '연성강국 신외교' 추진을 약속하며 한반도 평화의 제도적 정착, 한미동맹 및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강화, 일본·러시아와 협력 등도 공약했다. 이어 BTS, 봉준호 감독, 윤여정 배우 등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 문화·예술인들을 언급하며 "문화예술의 꿈을 이뤄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경선 캠프 이름을 '필연 캠프'라고 정했다. 총괄은 5선의 설훈 의원이 맡았다. 이어 박광온(총괄본부장)·최인호(상황본부장)·홍익표(정책본부장)·김철민(조직본부장)·이병훈(총무본부장)·김주영(직능본부장)·서동용(홍보본부장)·소병철(법률위원장) 등이 캠프에 합류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