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청년 창업가' 만난 윤석열…경제·역동성·공정 강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8일 국내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청년 창업가들과 만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사진은 윤석열 전 총장이 이날 서울 강남구 역삼동 팁스타운에서 열린 '스타트업 현장 간담회'에 참석, 발언하는 모습. /뉴시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8일 국내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청년 창업가들과 만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윤석열이 듣습니다'라고 붙인 민심 투어 두 번째 행보 차 청년 창업가들과 만난 윤석열 전 총장은 "정치가 자유로운 기업 활동을 방해하지 않고, 기업 활동이 정치에 의해 휘둘리지 않도록 많은 경각심을 갖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지난 6일 민심 투어 첫 번째 행보로 대전 카이스트에 방문, '탈원전 반대' 입장을 부각한 바 있다. 이어 두 번째 일정에서는 '청년 창업' 현안에 대해 관심을 표현한 것이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민·관 협력 스타트업 육성단지 '팁스타운'을 방문, 청년 창업가와 만났다. 이 자리에서 윤 전 총장은 "(지금의 많은 글로벌 대기업과 국내 대기업 등이) 커나가는 과정의 시작은 스타트업에서 이뤄졌는데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스타트업이 성장하는 속도가 과거보다 훨씬 빠르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년 창업가들과 만남에서 윤 전 총장은 "국가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역동성'"이라며 "경제의 역동성을 주기 위해서는 자유를 줘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어 "역동성은 자유와 창의"라며 "어떤 이야기, 시도할 수 있는 사회 분위기가 바탕이 돼야 경제의 역동성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최근 20∼30대 청년층 중심으로 '공정'이 화두로 떠오른 만큼 "우리 경제에 '역동성을 줘야 한다'는 큰 관점에서 봤을 때, 스타트업이 대기업으로 성장하고,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기회가 제대로 부여되는 사회가 공정한 사회"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청년 창업가인 스타트업 대표와 만난 윤 전 총장은 ▲네거티브 규제 필요성 ▲청년 자산 형성 위한 스톡옵션 규제 완화 ▲규제 샌드박스 보완 ▲창업자 세제 혜택 ▲주 52시간제 및 최저 임금제 등 현장 목소리도 경청했다.

 

이와 관련 윤 전 총장은 청년 창업가와 만난 뒤 기자들과 질의응답에서 "규제와 법령이 한 번 만들어지면 규제와 감독하는 조직이 생겨난다. (규제 필요성이) 상실됐는데도 폐기하기 어려운 게 많다"며 "그 부분을 잘 살펴 과감한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스타트업 인력 충원 문제와 관련 "시장이 원활하게 돌아가면 우수 자원들이 충원될 것"이라며 스톡옵션 규제 완화 여부에 대해서도 "스톡옵션 거래가 원활하게 중개가 잘 되면 자신의 창의와 성과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돼 좋은 인력이 (스타트업에) 진출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윤 전 총장이 방문한 팁스(TIPS·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는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아래, 세계 시장 선도 기술 아이템 보유 창업팀을 민간 주도로 선발, 집중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에 간담회에는 고영하 한국엔젤투자협회 회장,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 박경희 법무법인 린 변호사, 장지호 닥터나우(헬스케어) 대표, 남성준 다자요(공유숙박) 대표, 김기동 코나투스(반반택시) 대표, 김세영 서울거래소(스톡옵션) 대표, 정호정 카이아이컴퍼니(헬스케어) 대표 등이 참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