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르포] 신한 '디지로그 브랜치' 가보니…디지털 콘텐츠에 감성 한 스푼

금융 MBTI 검사 등 이색 콘텐츠
독립된 컨설팅 라운지로 정보 보안 강화
디지털 데스크…비대면 화상창구 역할 톡톡

신한은행 디지로그 지점 서소문 전경. (왼쪽부터) 간단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퀵 데스크와 컨시어지 데스크가 마련돼 있다. /권소완 수습기자

공상과학(SF) 영화에서 볼 법한 거대 원형 테이블, 유선형 공간이 시선을 사로잡는다. 지난 12일 문을 연 신한은행의 '디지로그(Digilog)' 지점이다. '은행 같지 않은 은행'을 표방한 이곳은 최첨단 디지털 기술에 고객을 위한 따뜻한 감성을 더하겠다는 진옥동 신한은행장의 철학이 담긴 곳이다.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합성어인 디지로그란 이름에 걸맞은 미래형 금융점포다.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은행에 접목된 디지털 기술이다. 서소문지점은 주로 직장인 등 개인이 이용하는 특성을 살려 지난 10년간 영업점 거래 고객의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화된 고객 여정을 선보이고 있다.

 

금융유형 검사, 인근 소상공인 점포 소개, 유튜브 영상 등 고객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CX존이 마련돼 있다. /권소완 수습기자

공간은 크게 고객경험(CX)존·컨시어지 데스크·컨설팅 라운지로 나뉜다. 문을 열고 들어서자 마자 눈에 띄는 거대한 원형 테이블이 바로 CX존이다. 지점을 둘러보면서 정보를 얻으려는 고객에게 제격이다. 테이블 위로 띄워진 ▲SFTI 금융유형 검사 ▲보통사람 금융생활 ▲우리동네 흑백사진관 ▲지식창고 ▲디지털 응원나무 등을 터치하면 재미와 정보를 담은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특히 'SFTI 금융유형 검사'는 최근 성격유형검사로 인기를 끌고 있는 'MBTI'를 신한은행 버전으로 재해석한 콘텐츠로 고객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간단한 심리테스트로 성격 유형을 감별해 이에 맞는 금융상품을 안내받을 수 있다.

 

지난 13일 기자가 직접 'SFTI 금융유형 검사'를 체험하고 있다. 성격유형검사를 신한은행 버전으로 재해석한 콘텐츠로 각 유형에 맞는 금융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소상공인과 협업을 통해 휴먼터치(사람 중심의 언택트 기술)를 선보이기도 했다. '우리동네 흑백사진관' 콘텐츠를 통해 고객에게 인근의 오래된 가게를 소개하고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등 상생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CX존 뒤로는 컨시어지 데스크가 마련됐다. 무작정 번호표를 뽑고 기다리는 방식의 일반 영업점과는 달리 고객이 디지털 필경대에 직접 대기번호를 찍고 원하는 업무를 요청할 수 있다. 입·출금 등 현금거래 등은 컨시어지 데스크에서, 무현금거래는 컨시어지 데스크 옆에 마련된 퀵 데스크에서 처리할 수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디지로그 지점으로 전환한 이후 대기고객이 오히려 줄었다"고 전했다. 방문목적에 따라 고객을 분리하면서 대기시간도 대폭 단축됐다는 설명이다.

 

개별 공간으로 분리된 컨설팅 라운지 내부. 개인 정보를 보호하면서 업무를 볼 수 있다. /권소완 수습기자

고객들의 호응이 가장 높은 곳은 바로 컨설팅 라운지다. 기존 영업점에서 타인에 노출된 상태로 창구 상담을 진행하는 데 불편함을 느낀 소비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고객 프라이버시 보호에 중점을 둔 개별 상담공간이다. 각 창구가 독립된 것은 물론 밖에서 보이지 않도록 유리 벽면을 전환할 수도 있다. 고객의 금융 정보를 적극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호평이 이어지고 있다.

 

디지털 데스크에서 본점 디지털 영업부 직원과 화상상담을 연결해 적금 상품을 안내받을 수 있다. /권소완 수습기자

지난해부터 운영한 디지텍트 브런치는 비대면 금융창구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서소문지점은 '디지털 데스크' 부스를 마련해 비대면 화상상담에 주력하고 있다. 본점의 디지털 영업부와 화상상담이 연결되면 예·적금 신규 가입부터 대출상담까지 진행할 수 있다. 서소문지점의 특징에 맞춰 부동산이나 투자 상담도 가능하다. 은행 관계자는 "디지털 데스크 사용이 늘고 있다"면서 "올해 안에 디지털 데스크를 전국에 50대까지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점 내에는 강의 공간도 마련돼 있다. 매주 1회 신한은행의 전문가들이 부동산, 금융투자, 환율 전망 등을 강연하는 '지식창고' 세미나를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2층에는 기업고객과 개인사업자 고객을 위한 '소호(soho) 전용 컨설팅 라운지'를 설치했다.

 

디지로그 지점은 현재까지 서소문, 남동중앙금융센터, 신한PWM목동센터 등 3곳이 개점한 상태다. 오는 9월 중엔 한양대점이 새롭게 오픈할 예정이다. 기업고객이 주로 찾는 남동중앙금융센터에는 국가지원사업, 파생 상품 등 기업 전용 콘텐츠가 배치됐으며 고액 자산가를 위한 신한PWM목동센터에는 아트 큐레이션, 미술경매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고객경험(CX) 테이블을 마련했다.

 

신한은행은 각 지점의 특성에 맞춰 디지로그 브랜치를 테스트 베드로 삼아 운영할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