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특징주

[IPO 간담회] AI 채용 플랫폼, 원티드랩

'채용 AI 매칭 서비스' 통해 매년 두배 이상 매출액 성장
글로벌 '라이프 커리어 플랫폼'으로 도약

원티드랩 이복기 대표.
26일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가 온라인을 통해 IPO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질의응답에 답하고 있다. /프레인키웨스트

인공지능(AI) 기반의 채용 플랫폼 '원티드(wanted)' 운영사인 원티드랩이 오는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26일 원티드랩은 상장을 앞두고 온라인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어 향후 비전에 대해 밝혔다.

 

지난 2015년 출범한 원티드랩은 '지인 추천 채용' 비즈니스 모델을 기반으로 채용 플랫폼 '원티드'를 선보이며 빠르게 채용 시장에 진입했다. 원티드랩은 지원부터 합격 및 채용 유지까지의 데이터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보유한 기업이다.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는 "원티드가 기존 광고 모델과 차별화된 점은 과금, 공고 노출, 데이터, 유저 소싱 등 네가지 측면"이라며 "원티드와 같은 매칭 모델은 채용을 성공했을 때만 과금이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지원자 대비 AI가 매칭한 지원자의 서류 합격률이 약 4배 높다"며 "채용 소요 시간도 일반 지원에 비해 98일에서 28일로 71% 단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220만개 이상의 실시간 매칭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채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 대만 5개국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이 대표는 "글로벌 원 플랫폼을 기반으로 현지 파트너들을 활용해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며 "또 채용 이외에도 확장성이 큰 커리어, HR(인적자원관리) 솔루션, 화상 면접 솔루션 등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유저와 기업수를 빠르게 늘리면서 유료화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원티드랩은 2018년 34억원에서 2020년 147억원으로 매년 두배 이상 매출액 성장을 이루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비대면 채용 및 소규모 수시 채용 문화가 확산되면서 지난해 설립 이후 처음으로 매출액 100억원 고지를 넘었다.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57억원, 영업이익은 4억원으로 흑자 전환하는 등 가파른 실적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원티드랩은 ▲프리랜서 매칭 전용 플랫폼인 '원티드 긱스(gigs)' ▲이용자의 커리어 성장을 위해 컨퍼런스 및 교육 등을 제공하는 '원티드플러스(Wanted+)' ▲42만개 기업의 연봉 정보를 제공하는 '크레딧잡(KREDIT JOB)' ▲기업에 스마트한 인사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커먼스페이스(Commonspace)' 등 차별화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고 있다.

 

이복기 원티드랩 대표는 "이번 기업공개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원티드랩의 '대규모 수시채용'이 가능한 차별화된 비즈니스 모델과 'AI 매칭 채용 서비스'라는 핵심 경쟁력을 소개할 수 있었다"며 "이번 상장을 통해 채용을 넘어 '라이프 커리어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다짐했다.

 

원티드랩은 상장으로 조달된 자금을 인수합병과 신사업 및 해외사업 개발, 연구개발(R&D) 인재 확보 등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

 

원티드랩의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총 공모주식수는 73만주, 공모가 밴드는 2만8000~3만5000원이다. 7월 26~27일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확정한 후 8월 2~3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오는 8월 초 코스닥 시장 상장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