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윤휘종의 잠시쉼표] 어물전 망신시킨 MBC

국내 언론이 안팎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집권여당이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강행처리해 언론활동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고의적으로 잘못된 기사를 게재하면 마땅한 처벌받아야 한다. 하지만 잘못된 기사에 대한 책임규명을 언론사가 해야 하고, 기자들에게 그 책임을 무는 것은 기자들의 취재활동이 크게 위축될 게 뻔하다. 언론의 비판기능은 제약을 받게 될 것이고 이는 결국 부메랑이 되어 국민 전체가 그 피해를 나눠갖게 될 것이다.

 

더군다나 허위·조작 보도로 피해를 입었을 경우 언론사에 피해액의 5배까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의 경우, 그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악용될 소지가 뻔히 보인다. 주로 권력과 자본을 가진 측에서 본인들에게 불리한 언론사들을 상대로 소송을 남발할 것이다. 그나마 대형 언론사들은 법적 대응을 할 수 있겠지만 그럴 여력이 없는 중소 언론사들엔 치명타가 될 수 있다. 대다수 언론학자들도 이처럼 힘 있는 자들이 언론중재법을 '악용'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스스로와의 싸움으로 더 치열한 상황이다. 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매체의 절대 숫자가 많아졌고 포털들이 언론들을 선택하고 배열하는 권한을 갖고 있어 상당수 매체들이 포털에 목을 매고 있는 상황이다. 몇년 전 독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자극적인 제목과 선정적인 기사를 경쟁적으로 올려 사회 문제가 됐고, 독자들로부터 항의와 지적을 받은 일련의 사례들을 우리 모두는 기억할 것이다.

 

이런 가운데 SNS, 유튜브까지 가세해 기성 언론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심지어 SNS와 유튜버들은 마구잡이로 가짜뉴스들을 쏟아내고 있다. 유시민 같은 분은 스스로를 '유튜버 언론인'이라며 본인들이 필요할 때만 언론 행세를 한다. 과연 이들에게 기성 언론처럼 자체 게이트키핑 기능이 있을지 의문이다.

 

그래도 언론사란 간판을 달아 놓은 곳에서는 기자들의 소양 교육에서부터 내부적인 게이트키핑 등을 통해 언론사의 기능을 수행하려 하고 있다. '우리가 돈이 없지, 가오가 없냐'는 영화 대사처럼 스스로 언론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언론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자정 노력에 힘쓰고 있다.

 

이런 와중에 MBC의 올림픽 개막식중계 '참사'가 발생해 난감한 상황이 됐다. MBC의 개막식 중계는 아무리봐도 기존 언론사들에 당연히 존재하는 게이트키핑이나 자체 데스킹 또는 여과과정이 없었다.

 

안 그래도 MBC는 정권 교체 이후 과거의 MBC가 아니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MBC는 한 때 언론 자유를 위해 해고를 두려워 않고 파업에 나설 정도로 민주언론의 선봉에 선 적이 있다. 하지만 정권이 바뀌면서 이제는 대표적인 친정권 성향 매체가 됐다. 언론의 자유를 외치던 어제의 자신을 부정하는 셈이다.

 

그간 MBC의 보도 행태나 이번 올림픽 중계 '참사' 등은 현재 국내 언론사들이 노력하고 있는 자정 노력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나 다름 없다. 가뜩이나 얼마 전 조선일보가 패륜적인 사건 기사에 조국 전 법무부장관과 가족을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사용해 비난을 받은 바 있는데, 이런 유력 언론들의 행태는 외부의 힘에 의한 언론개혁이 필요하다는 빌미만 제공하게 될 것 같아 걱정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