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오늘의 신상] 홈플러스 '시그니처 한촌 도가니탕' 외

홈플러스에서 모델이 '홈플러스 시그니처 한촌 도가니탕'을 소개하고 있다. /홈플러스

◆홈플러스 '시그니처 한촌 도가니탕'

 

홈플러스는 '한촌설렁탕'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는 이연에프앤씨와 손잡고 '홈플러스 시그니처 한촌 도가니탕'을 선보였다.

 

고품질의 홍성 한우로만 만들었으며 수입산 소고기로 만든 도가니탕과 다르게 고기가 붙어있는 도가니를 사용한다. 수입육에 비해 냉동기간이 짧아 보다 깊고 진한 육수와 부드러운 도가니, 도가니에 붙은 고기까지 맛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GS25에서 출시한 곰표 '밀식혜'/GS리테일

◆곰표 '밀식혜'

 

편의점 GS25는 뉴트로 감성의 대명사 대한제분 '곰표' 브랜드와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곰표 밀식혜'를 출시했다.

 

기존 식혜 상품은 쌀과 보리 만을 사용했지만 곰표 밀식혜는 대한제분의 밀을 활용해 밀 특유의 구수함과 쌉쌀한 풍미, 구수한 보리가 조화를 이뤄 전통적인 식혜의 맛을 살리고 추억의 느낌을 소환 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격은 1400원이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신제품 '서울피자관 프리미엄 피자' 3종. /서울우유협동조합

◆서울우유 '서울피자관 프리미엄 피자'

 

서울우유협동조합이 100% 국산 통 모짜렐라 치즈로 만든 '서울피자관 프리미엄 피자' 3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 '서울피자관 프리미엄 피자'는 토마토치즈, 차돌불고기, 매콤닭갈비 총 세가지 타입의 맛으로 정통 이태리식 피자와 한국적인 토핑을 가미한 프리미엄 냉동피자다. 이 제품은 서울우유 국산 100% 통 모짜렐라 치즈를 풍성하게 올려 치즈의 진한 풍미를 느낄 수 있으며, 시중에 나와있는 냉동피자와 차별화를 위해 400℃ 이상 고온에서 구운 쫄깃한 화덕 도우를 베이스로 활용해 엣지까지 맛있게 즐길 수 있다.

 

젤리셔스 '죠스바 아이스 톡톡젤리'. /롯데제과

◆롯데제과 '죠스바 아이스 톡톡 젤리'

 

롯데제과가 젤리 통합 브랜드 젤리셔스 제품을 확대하며, 인기 빙과 '죠스바'를 활용한 젤리셔스 '죠스바 아이스 톡톡 젤리'를 선보였다.

 

'죠스바 아이스 톡톡 젤리'는 '죠스바'의 맛을 그대로 살린 워터젤리다. 상온에서 그대로 먹으면 말랑말랑한 식감의 워터젤리이며, 냉동실에 넣어 얼리면 셔벗의 식감이 나는 아이스젤리로 즐길 수 있다. 또 물이 들어간 얼음컵에 제품을 넣어 시원한 에이드 형태의 음료로도 먹을 수도 있다.

 

또 제품이 튜브 형태이기 때문에 먹을 때 손에 묻지 않아 깔끔하게 취식이 가능하고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휴대성도 좋다. 한 봉에 3개의 제품이 들어가 있으며, 권장소비자 가격은 2500원이다.

 

'노세범 파우더 쿠션X카페 노티드 에디션'. /이니스프리

◆이니스프리·카페 노티드 '노세범 파우더 쿠션X카페 노티드 에디션'

 

이니스프리, 카페 노티드 두 브랜드가 만나 '노세범 파우더 쿠션X카페 노티드 에디션'이 탄생했다.

 

국민 파우더로 불리는 '노세범 파우더'의 보송함을 그대로 담은 '노세범 파우더 쿠션'에 '카페 노티드' 도넛의 달콤함과 슈가 파우더의 느낌이 더해졌다.

 

오는 8월 1일 정식 출시를 앞두고 있는 '노세범 파우더 쿠션X카페 노티드 에디션'은 '노세범 파우더 쿠션'의 패키지와 퍼프에 카페 노티드 대표 캐릭터 '슈가베어'를 패키지 안팎으로 담아낸 리미티드 에디션으로, 공식 온라인몰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먼저 만나볼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