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기아 노조, 결국 파업권 획득…車 업계 '코로나19·반도체 쇼크' 위기속 갈등 지속

기아 소하리 공장/뉴시스 제공.

기아 노동조합이 쟁위행위 찬반투표 가결로 합법적인 파업권을 획득했다.

 

기아 노조는 10일 대의원 대회 결정 사항에 따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 총 2만8527명 가운데 2만4710명이 투표해 과반 이상인 2만1090명이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률은 총원 대비 73.9% , 투표대비 85.4%다.

 

앞서 기아 노조는 지난달 20일 8차 본교섭에서 사측에 교섭 결렬을 선언하고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중노위는 같은 달 30일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조정중지결정에 이어 쟁의행위 찬반투표가 가결됨에 따라 기아 노조는 합법적으로 파업을 벌일 수 있게 됐다.

 

기아 노조는 기본급 월 9만90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영업이익 30% 성과급 지급, 정년 연장(최대 만 65세), 노동시간 주 35시간으로 단축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아직 별도 안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다.

 

기아 노사는 다음달 추석 연휴 전 임협을 타결한다는 계획하에 교섭을 벌이고 있지만 여전히 갈등폭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다만 현대차 노조가 3년 연속 무분규 타결을 이뤄냈으며, 코로나19 팬데믹과 자동차 반도체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기아 노사도 무분규 타결을 위해 한발씩 양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한국지엠은 이날 확대간부합동회의와 6차 중앙쟁의대책위원회 회의를 잇따라 진행하며 대책 수립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지엠 노사는 지난달 22일 14차 교섭에서 기본급 3만원 인상과 일시금 450만원 지급, 부평2공장 생산연장 등의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하지만 지난달 26~27일 찬반투표에서 51.15%가 반대표를 던지며 부결됐다.

 

결국 한국지엠 노사는 2021년 임금 및 단체협약이 원점으로 돌아왔지만 올해 반도체 쇼크로 상반기에만 7만1000대에 달하는 생산차질이 발생한 만큼 대규모 파업을 결정하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유일하게 지난해 임단협을 마치지 못한 르노삼성도 이번 주 교섭을 재개한다. 지난해 7월 2020년 임단협을 시작한 르노삼성 노조는 ▲월 7만1687원(호봉승급분 제외) 기본급 인상 ▲격려금 700만원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2020·2021년 임단협 통합 교섭 ▲기본급 동결 ▲일시금 800만원 지급 등을 제안했지만, 기본급에 대한 갈등은 여전히 확산되고 있다. 르노삼성 노조는 기본급 인상을, 사측은 기본급 동결을 고수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