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철의 쉬운 경제] 가붕개에게 무슨 힘이 있다고?
지도층 인사들이 첫 번째 덕목이 되어야 할 수오지심을 상실해가는 까닭은 무엇일까? 어차피 헝클어진 세상에서 그럭저럭 살면 되지 뭣 때문에 꼬투리를 잡고 늘어지느냐며 스스로 얼굴에 먹칠을 하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기 때문일까? 그렇고 그런 세상에서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무슨 상관있느냐는 패배의식이 숨겨져 있을까? 도덕불감증에 빠진 유력인사들이 선량한 보통사람들도 자신들처럼 허위의식에 빠져 옳고 그름을 구분하지 못하고 마구잡이로 살아가는 줄 착각하기 때문일까?
떠들썩했던 입시비리(?) 관련 두 번째 심판에서 돈과 명성과 권세를 겸비한 유력인사에게 첫 번째와 같은 벌이 내리자 누군가 불만을 토로했다. "만약 오늘 재판부의 논리를 그 시대에 입시를 치른 사람에게 랜덤으로 조사한다고 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현재 해석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는지에 대한 생각이 강하게 들 수밖에 없다." 재주도 없고 힘도 없어서 바르게 살 수밖에 없었던 이 무지렁이가 그 말을 들으니 그렇고 그런 인간으로 도매금으로 넘어갔다는 기분이 들어 찝찝하다.
힘 있고 잘났다는 인사들이 남들도 저 자신처럼 지저분하다고 착각하면 세상은 혼란스러워지기 마련이다. 태생적 인간 됨됨이가 그랬는지 아니면 후천적으로 탐욕에 찬 교육을 받은 때문일까? 남들도 자신들처럼 오염되었다고 지레 짐작하며 되는 대로 살다보니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조건인 죄의식을 상실한 때문일까? 이들은 괴변을 늘어놓아 사람들을 현혹시켜 엉뚱한 판단을 하게 하는 짓거리를 취미가 아니라 본업으로 삼는 듯하다. 속담에 가랑잎이 솔잎더러 바스락거린다고 하듯이 제 뒤는 닦지 않고 남의 옷에 묻은 티끌을 찾아내 더럽다고 사설을 늘어놓는 꼴이다.
생각해보자, 아는 것도 없고 가진 것도 없는 가재들은 이 다음 세상에서라도 벌 받을까 두려워 어찌 감히 아무데서나 거짓말을 할 수 있겠는가? 동아줄이 없는 붕어가 그 어려운 증명서를 가짜로 만들어 달라고 부탁할 엄두라도 내겠는가? 용들이야 끼리끼리 품앗이로 화려한 스펙을 만들어내지만 개구리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이 풍진세상에서 가재·붕어·개구리들이 그 무슨 힘이 있다고 위선으로 가득 찬 굿거리장단에 맞춰 춤을 출 수 있다는 말인가?
누구나 아는 구절을 돌이켜보자. "나라를 다스리려면 먼저 제 집안을 가지런히 해야만 한다 함은 제 집안을 가르치지 못하고 남을 능히 가르칠 자는 없다(所謂治國 必先齊其家者 其家 不可敎 而能敎人者 無之, 大學 장구 제9)"고 하였다. 제 자신은 바른 자세를 가지지 못하고. 제 가정도 바르게 지키지 못하는 인사들이 큰일을 맡다가는 조직과 사회를 어지럽힌다는 이야기다. 그러나저러나 유사 이래 세상 일이 백성들 뜻대로 된 적이 과연 얼마나 있었을까? 한 가지 간곡한 부탁은 안중근의사 같은 선현들의 거룩한 이름을 아무 입에나 함부로 담지 말기 바란다.
주요저서
-불확실성 극복을 위한 금융투자
-욕망으로부터의 자유, 호모 이코노미쿠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