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네이버 D2SF, AI·피트니스 분야 스타트업 2곳에 신규 투자

네이버 D2SF가 신규 투자를 결정한 '썸 테크놀로지스', '피트' 로고. /네이버

네이버 D2SF(D2 Startup Factory)가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이어가며, 기술 생태계 발전에 속도를 내고 있다.

 

네이버 D2SF는 인공지능(AI) 및 피트니스 분야 기술 스타트업 두 곳에 신규 투자했다고 19일 밝혔다. 투자 대상이 된 스타트업은 ▲AI 기술 기반의 기업용 협업 솔루션을 개발 중인 '썸' ▲데이터 기반으로 개인의 운동 능력을 분석해 그에 맞는 운동을 처방하는 솔루션 개발사 '피트'다.

 

썸은 자연어처리와 머신러닝 등 AI 기술을 활용해 기업 내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요약·검색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썸은 회의록 작성, 문서 공유, 히스토리 검색 등 기업 내 비정형 데이터 업무를 효율화하고, 나아가 기업의 의사결정을 돕는 솔루션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첫 제품은 화상미팅 어시스턴트로, 미팅 내용을 자동으로 기록 및 요약해 '할 일 목록'(to do list)을 추출하고, 슬랙(Slack) 등 다른 협업툴과 연동하는 솔루션이다. 현재 1차 시제품을 완성했고, 2022년 초부터 영어권 테크 기업 중심으로 사전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피트는 데이터 기반으로 심폐지구력, 근력, 관절가동성 등 개인의 운동 능력을 분석하고, 맞춤형 운동을 처방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대부분의 피트니스 솔루션이 운동 종류와 횟수를 기록하는 데 그치는 반면, 피트는 각기 다른 개인의 운동 능력을 평가해 최적의 운동 방법을 설계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체계적 건강 관리를 돕는다. 또한 운동 검사를 위해서는 대형 병원 등에서 수억 원대 장비, 수백만 원의 검사비가 필요했지만 피트는 전문 장비 없이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운동 검사 알고리즘을 자체 구축했다.

 

이미 피트의 솔루션은 여자프로배구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 독일 올림픽 트레이닝 센터 '라인랜드' 등 전문 프로 선수단에 도입되어 신뢰성을 입증했다 그 외에도 피트니스 센터, 필라테스·요가 스튜디오 등 B2B(기업간 전자상거래) 고객이 빠르게 늘고 있으며, 2022년에는 B2C(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 서비스도 런칭할 계획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리더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기업에서는 하이브리드 근무환경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개인은 체계적인 건강관리를 주목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코로나19와 무관하게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이번에 신규 투자한 두 팀은 탄탄한 기술력과 높은 시장 이해도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꼭 필요한 솔루션으로 자리잡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