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그린수소' 에너지기업 한자리에…'수소모빌리티+쇼' 내달 8일 개막

포스코그룹 수소생산설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탈탄소의 핵심 '그린수소' 생산기술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탈탄소의 핵심인 '그린수소' 에너지기업들도 '2021수소모빌리티+쇼'에 집결한다. 수소모빌리티+쇼조직위원회는 ▲ 넥스트하이드로젠(Next Hydrogen, 캐나다) ▲ 린데(Linde, 독일) ▲ 엘켐텍 ▲ 지필로스 ▲ 포스코그룹 ▲ 헤레우스(Heraeus, 독일) 등 국내외 대표 그린수소 에너지기업들이 9월 8일 개막하는 '2021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고 19일 밝혔다.

 

수소 생산기술은 친환경성을 고려해 그린수소, 블루수소, 부생수소로 구분된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수전해 방식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공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다.

 

포스코그룹에서는 포스코(수소에너지), 포스코건설(수소충전인프라), 포스코인터내셔널(수소에너지), 포스코에너지(수소에너지), 포스코에스피에스(수소모빌리티),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등 총 6개 계열사가 참가한다.

 

포스코는 개발 중인 수소환원제철공법과 수소생산·운송·저장·활용에 필요한 강재개발, 수소생산설비, 수소생산 핵심기술 등을 소개할 계획이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수소산업 밸류체인 사업현황, 포스코에너지는 수소에너지 저장 및 공급설비, 기술 등을 전시장에서 공개한다.

 

또 캐나다의 알카라인 수전해 시스템 제조업체인 넥스트하이드로젠도 참가한다. 넥스트하이드로젠은 지난 7월에 현대자동차·기아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시스템 공동 개발 및 사업화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아울러 독일의 린데는 이번 전시에서 청정수소 생산, 저장, 운송 및 활용을 포함한 수소산업 전주기 기술인 '린데 클린하이드로젠 밸류체인'을 공개한다.

 

엘켐텍은 국내 대표적인 고분자전해질(PEM) 수전해 솔루션 제조기업이다. 다공성 구조를 갖는 촉매를 제작하는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에 출품하는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장치'는 나노다공성 물 분해 전극을 이용해 수소발생효율 약 90% 이상, 소비전력은 20% 절감이 가능한 청정에너지 발생 시스템이다.

 

이 외에도 12개국 150여개의 국내외 수소 관련 기업이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하는 2021수소모빌리티+쇼에 참가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