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게임으로 시작한 메타버스의 활용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사람들은 메타버스 속 공연장에서 영화나 콘서트를 즐기거나, 메타버스 안에 구현된 사무공간에서 회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버스 도입 초창기 게임 위주로 생겨났던 것과는 달리 최근 만들어진 메타버스는 엔터테인먼트, 업무 플랫폼 등으로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SK텔레콤는 최근 업무용·엔터테인먼트용 메타버스 '이프랜드'를 출시했으며, 페이스북도 메타버스 플랫폼 속 가상일터 '인피니티 오피스'를 개발 중에 있다.
◆마인크래프트, 게임으로 시작한 메타버스
초기 메타버스는 게임에서 시작했다. 최초의 디지털 게임이 등장한 후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게임은 2D에서 3D로 단계적으로 진화했다. 3D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에 게임이 가장 먼저 탑승한 건 결코 우연이 아니다.
게임 메타버스로 출발한 대표적인 사례는 2011년 발매된 '마인크래프트'다. 마인크래프트는 이름처럼 채광(Mine)과 제작(Craft)을 하는 게임으로, 샌드박스(게임 안에서 유저의 마음대로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시스템) 형식의 비디오 게임이다. 마인크래프트는 처음엔 평범한 3D 게임 중 하나로 분류됐다. 하지만 다른 3D 게임에 비해 폭넓은 자율성이 마인크래프트를 메타버스 게임의 대표 주자로 만들었다.
마인크래프트는 모든 것이 네모난 블록으로 이루어진 세계에서 혼자, 혹은 여럿이 생존하면서 건축, 사냥, 농사, 채집, 회로 설계를 할 수 있다. 직접 게임을 제작하는 등 정해진 목표 없이 자유롭게 플레이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마인크래프트는 2020년 기준 2억장 이상 판매된 역대 가장 많이 팔린 비디오 게임이며, 활동하는 평균 이용자 수만 1억2600만명을 넘은 전 세계 최고의 인기 게임 중 하나다.
◆비대면 시대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코로나19 시대에 가장 주목받는 메타버스 활용법은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이다.
네이버의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가 처음 주목받기 시작한 것도 엔터테인먼트 행사를 유치하면서부터였다. 작년 9월에는 걸그룹 블랙핑크가 팬 사인회를 진행했다. 당시 무려 4600만명이 모이며 큰 호응을 얻었다.
미국에서는 에픽게임즈의 '파티로얄'이라는 메타버스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 유명하다. 파티로얄은 게임으로 출발했지만 지금은 확장성이 증가해 SNS, 온라인 공연장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가입자 수 3억5000만명을 넘기기도 했다. 지난 4월에는 미국 힙합가수 트레비스 스콧이 파티로얄에서 아바타 콘서트를 개최해 오프라인 콘서트 수익의 약 10배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출시된 SKT의 이프랜드도 다양한 대형 행사와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SKT는 지난 19일부터 K팝 데이터 플랫폼인 '케이팝 레이더'와 함께 메타버스 K팝 팬미팅 행사를 이프랜드 내에서 개최하고 있다. 이번 달에는 소녀시대 태연과 함께 뮤직비디오를 함께 감상하는 이벤트, 보이그룹 '저스트비'의 멤버들과 소통할 수 있는 팬미팅 이벤트를 진행했다.
◆메타버스 속에서 업무 보는 기업들
메타버스를 업무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MOU나 기자간담회를 메타버스 안에서 체결하는 일도 최근 들어 자주 일어나고 있다. 아예 메타버스를 업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며 나서는 기업도 있다. 세계 최대 SNS 기업 페이스북이 대표적이다.
페이스북은 지난 19일(현지시간) 메타버스 플랫폼 '호라이즌' 테스트버전을 공개했다. 호라이즌은 가상현실 속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생성해 타인과 이야기를 나누고, 영화를 함께 보거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소셜 플랫폼이다. 호라이즌이 다른 메타버스에 비해 독특한 점은 가상일터 '인피니티 오피스'도 개발 중에 있다는 점이다.
페이스북은 사람들이 호라이즌을 단순히 놀이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교육과 여가, 업무 등을 진행하면서 실질적으로 생활을 대체할 수 있는 목적으로 사용되길 기대하고 있다. 인피니티 오피스를 개발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페이스북은 일단 이용자만 확보되면 호라이즌이 독보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는 지난달 말 3분기 실적 콘퍼런스콜 때 "가상현실은 우리가 가장 앞서 있다. 호라이즌 안에 일단 1000만명을 모으겠다"고 호라이즌에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SKT 이프랜드도 업무 플랫폼으로서의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프랜드 내 메타버스 룸에서는 원하는 자료를 문서(PDF) 및 영상(MP4) 업무 진행을 위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SKT는 앞으로도 이프랜드의 업무 기능을 더 확장 시킬 예정이다. 그리고 이프랜드 내에서 진행하는 사업 설명회나 신제품 발표회도 계속 유치해서 업무를 넘어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의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양맹석 SKT Metaverse사업담당은 "수백 여의 제휴 파트너사들과 협업 중에 있다"며 "고객들에게 어떤 내용들을 좀 더 재밌게 제공할지에 대해 논의 중이다. 예를 들어, 방송사와 프로그램 제작, 신제품 발표회, 토크 콘서트, 비즈니스 포럼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