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롯데마트, 추석 선물세트 펀딩 판매한다

횡성한우 등심정육 시즈닝 세트/롯데마트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와디즈'에 한정판 추석 선물세트가 등장했다.

 

최근 다양한 기업들이 자사몰이 아닌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 신제품이나 한정판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은 대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 조달을 뜻하는 펀딩(Funding)을 조합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다수의 대중으로부터 자금을 투자 받아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업들은 이를 통해 상품 정식 출시 전 소비자들로부터 먼저 가능성을 확인하고, 소비자들은 정가보다 큰 할인 혜택이나 합리적인 세트 구성 혹은 한정판 득템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프로슈머(생산에 참여하는 소비자)'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MZ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롯데마트는 이 같은 트렌드에 발 맞추어 올 추석 프리미엄 선물세트인 '횡성한우 넘버나인 등심정육세트'와 '호주산 청정 와규 MBS 8+ 스페셜 세트'를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의 대표 주자인 와디즈에서 한정판으로 선보인다. 자사몰이 아닌 외부 플랫폼에서 단독으로 자신있게 선보이는 이유는 지난 설 명절 온라인 매출이 전년대비 10% 신장한 축산 선물세트에 대한 자부심이 있기 때문이다.

 

와디즈에서 선보이는 '횡성한우 넘버나인 등심정육세트(등심 500G*2팩, 국거리/불고기 각 500G, 리브솔트2종, 그라터)'는 소고기 도축 물량 중 7%밖에 나오지 않는 한우 최고등급인 '투뿔넘버나인'으로 구성된 프리미엄 선물세트이다. 히말라야 솔트와 전용 우드 스탠드가 포함되어 100세트 한정 55만원으로 펀딩을 진행한다.

 

또한 호주산 와규 마블링 등급 중 상위 10%에 해당되는 가장 높은 8,9 등급으로 엄선한 '호주산 청정와규 MBS8+스페셜세트(살치살, 부채살, 윗등심살 각 250g*3)'도 100세트 한정 35만원에 준비했다. 고급 소고기의 대명사 와규의 인기 고급부위인 살치살, 부채살, 윗등심살로 구성된 구이, 스테이크 혼합세트이며 1팩씩 개별 포장되어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다.

 

23일부터 31일까지 펀딩이 진행되며 펀딩 종료 후 MD가 직접 테스트를 진행해 만든 안심 보냉 가방에 담아 9월 7일부터 발송된다. 이는 받고 나서 버리는 부직포 포장재가 아닌 재사용이 가능한 다회용 가방으로, 피크닉과 캠핑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가능한 종이박스와 물만 들어있는 친환경 아이스팩으로 더욱 신선하게 받아볼 수 있다.

 

추가로 30일부터 9월 8일까지는 이색적이고 고급스러운 'ASC 인증 전복세트'와 '메로스테이크 세트'를 선보인다. 'ASC 인증 전복세트'는 지속가능한 양식 수산물 인증을 받은 전복으로, 9마리씩 포장된 자이언트 전복을 와디즈 펀딩가 12만 8000원으로 만나볼 수 있다. 고급 레스토랑에서 맛보던 '메로스테이크 세트'는 그 풍미 그대로 가족들과 즐길 수 있도록 24만 8000원에 펀딩을 진행할 예정이다. 히말라야 핑크 솔트가 동봉되어 있어, 특별한 생선에 걸맞은 소금으로 요리할 수 있다. 펀딩 종료 후 9월 14일부터 명절 전까지 순차적으로 배송된다.

 

롯데마트 윤병수 신선식품 2부문장은 "롯데마트의 우수한 신선 선물세트를 자사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더 널리 알리고자 와디즈 펀딩에 도전하게 됐다" 고 말하면서, "귀한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만큼 구하기 쉽지 않은 한정판 선물세트에 펀딩해 소중한 마음을 전달해 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