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은 방위사업과 관련된 다양한 업무를 국민의 시각에서 이해를 돕기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전문성이 결여되거나 선을 넘는 방사청의 자위적 행태는 짚어야 할 문제로 지적된다.
◆방사청, M36이 국군 최초전차라고?
30일 자주포와 전차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민간연구가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방사청이 27일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 'M36 잭슨, 6.25 전쟁 후반 도입한 최초의 전차 기갑부대 창설의 밑거름이 되다'라고 올린 내용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민간연구가에 따르면 M36 잭슨은 전차가 아니라 전차를 파괴하는 '탱크 디스트로이어(TANK DESTROYER)'로 분류된다. 일각에서는 이마저도 전차로 분류하지만, 장갑이 얇아 본격적인 전차로 운용되기는 무리가 있다는 점에서 대전차 자주포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쟁기념관 등 우리 군의 전사를 연구하는 복수의 기관에서는 M36을 도입해 1951년 10월에 창설된 육군 전차중대를 최초의 국군 기갑부대로 해석하고 있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논란이 있다. 해병대 측의 사료를 종합해보면 해병대 제1연대 소속 장교 3명과 병100명이 8월하순께 경남 창원(진해) 소재 해병학교에서 전차중대를 발족한다.
이들은 미 해병대로부터 피복 및 장비 일절을 지원받았고, 오상규 대위가 이끄는 해병대 전차중대는 이듬해 1월 미 해병대로부터 M4셔먼 전차 6대를 인수받았다. 육군이 1950년 12월 전차기간병 교육을 개시한 것도 사실이지만, 한달여도 못돼 6대의 M36이 회수됐기에, 제대로 된 전차교육과 전차를 확보한 국군 제1호 기갑부대는 해병대 전차중대인 셈이다. 방사청이 페이스북에 올린 M36 사진도, 한국전쟁 당시가 아닌 오늘날의 국군 위장무늬로 도색이 돼어 있다는 점도 아쉬운 점이다.
◆방사청, 정책비난 댓글에 달린 '지역혐오'에는 늦장대응
방사청의 홍보노력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부분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영관장교로 방사청에서 근무한 직원의 '특정지역 혐오' 댓글을 제 때 처리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방위력개선비, 국난에 80% 우선 사용한다'는 제도 홍보물이 지난 23일 방사청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 올라왔다.
이와 관련돼 방사청이 추진하는 '한국산 우선획득 제도'에 대해서는 군 안팎에서 성능과 신뢰도, 전력화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페이스북 사용자 A씨가 홍보물에 대한 비판적 의견을 내 놓자. 전 방사청 직원인 B씨는 "광주 똘아이구나?ㅋㅋㅋㅋㅋㅋㅋ", "전라도에 어디 방산장비, 화력 무기전시 된 곳에서나 뭘 본게요?" 등의 지역혐오 발언을 댓글로 달았다. 본지가 이를 지적하고 난 뒤에서야 방사청은 해당 게시물에 달린 댓글 전부를 삭제했다.
방사청 관계자는 페이스북 게시물과 관련해 "M36과 관련해서는 좀 더 사실을 확인하겠다. 전쟁기념관 등의 지료를 참고를 한 것"이라면서 "지역혐오 댓글을 단 B씨는 퇴직한 인물로 현재 방사청 직원이 아니다"고 밝혔다.
◆방사청, 비판적인 민간단체가 걸끄러웠나?
방사청이 '페이스북 과잉홍보를 넘어 특정매체 기자와 결탁해 비난세력에 대한 공세적 의혹전을 펼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29일 한 매체는 군사비밀을 유출한 총기업체 A사와 민간 군사연구회의 세미나가 유착관계일 것이라는 늬앙스를 띈 보도를 했다.
해당 기자는 방사청 관계자들의 입을 빌어 "2019년 3월 국회에서 특전사 차기 기관단총 관련 세미나가 열렸다. 특전사와 인연이 깊은 예비역 장성이 주도적 역할을 하는 단체가 주최한 행사"라며 "방사청 몇몇 관계자들은 사건이 불거진 뒤에야 2019년 세미나에서 벌어진 일을 들었고, 하나같이 혀를 찼다"고 언급했다.
이는 일선 군인들에게 존경을 받는 특전사령관 출신 장군을 정면에서 저격한 것이다. 그가 고문으로 있는 '민간연구회'는 가짜 보급품을 비롯해 시대에 뒤떨어진 보급품에 대해 날선 비판을 하는 단체다. 때문에 군당국의 입장에서는 매우 걸끄러운 단체다.
본지의 취재에 따르면 해당 기자와 방사청 관계자는 해당 연구회의 세미나에 참가한 적이 없다. 세미나에 참가했던 현·예비역 군인들은 '특정업체 옹호성 발언이 없었는데 현장에 없던 자가 왜 악의적인 기사를 쓰나', '방사청의 사주라도 받았나'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방사청 관계자는 "방사청 직원이 1600명이라 일일이 알기 힘들다 다만, 해당기자 주간조선의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 안다"며 선을 그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