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서울시, 빅데이터 분석 결과 토대로 불공정거래 손질

불공정거래 언급량 비중./ 서울시

서울시는 빅데이터 분석에서 불공정거래 언급이 가장 많았던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이고 대책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지난 2년간 언론과 SNS에 언급된 불공정 거래 관련 키워드를 포함한 데이터 약 63만건을 분석했다. 이날 시에 따르면 불공정 언급 데이터양은 2019년 27만6380건에서 2020년에 35만7685건으로 29.4% 증가했다.

 

전체 데이터를 '갑을관계' 피해가 많은 7개 분야로 나눠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분야가 76.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온라인플랫폼(16.3%) ▲하도급거래(2.7%) ▲가맹거래(1.9%) ▲대·중소기업간 거래(1.2%) ▲대리점거래(0.9%) ▲대규모 유통거래(0.6%) 순이었다.

 

언론 기사 중 댓글이 많은 206개 기사(분야별 약 30개)를 추출해 분야별 이슈화된 사건과 쟁점을 분석해보니 문화예술분야는 저작권 탈취, 온라인플랫폼은 플랫폼기업의 독과점에 대한 우려가 많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하도급거래는 대금 미지급과 기술탈취, 가맹거래는 오너리스크, 대·중소기업간 거래는 규제 강화, 대리점거래는 구입 강제(밀어내기)와 가격구속에 대한 의견이 대다수였다고 시는 덧붙였다.

 

한영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불공정 관련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민들이 실제로 체감 중인 이슈를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빅데이터상 불공정 거래가 가장 많이 언급된 문화예술분야를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피해구제와 선제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