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푸드

해외서 잘 나가는 우리 술…주류업계, 글로벌 무대로 활로 개척

하이트진로의 중국 수출용 과일리큐르 4종 이미지. /하이트진로

 

 

한류, K-푸드의 인기에 힘입어 K-드링크도 주목 받으면서 주류업계가 해외 주류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먼저 소주의 경우 아직 소주가 생소한 해외 시장에 달콤한 과일 소주를 앞세워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올해 중국시장 소주류(참이슬 및 청포도에이슬 등 과일리큐르)의 수출량이 100만 상자(상자당 30병)을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단일국가 한해 판매가 100만 상자를 돌파한 것은 1994년 일본 이후 두 번째이다.

 

하이트진로는 중국 시장 소주류 판매를 2018년 이후 연평균 41% 키워왔으며 작년에는 87만8000상자를 판매, 전년 대비 약 56% 증가시키며 성장폭을 크게 넓혔다. 특히 소주류 가운데 과일리큐르의 비중은 2017년 14%에서 올해 60%로 확대했다.

 

하이트진로는 대표 제품 참이슬의 80여개국 수출을 내세워 과일리큐르를 수출 전략상품으로 해외 영업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50여 개국에 과일리큐르를 수출 중이며 2016년 자몽에이슬, 청포도에이슬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자두에이슬을, 2019년에는 딸기에이슬을 출시했다.

 

뿐만 아니라 하이트진로는 경영 3세인 박태영 사장을 필두로 해외 시장에서 맥주 성과를 낼 전망이다. 하이트진로는 맥주 사업의 새 승부처를 해외 시장으로 보고 올 상반기 맥주 테라를 미국·홍콩·싱가포르등 3개국에 수출하기 시작했다. 소주가 그랬던 것처럼 교민 시장에 맥주를 우선적으로 공급한 뒤 현지인들이 자주 찾는 한식당 등으로 판매처를 점차 늘린다는 방침이다.

 

하이트진로의 해외 시장 경쟁자가 되는 오비맥주는 몽골 등을 중심으로 카스의 동남아 지역 수출을 이끌고 있다.

 

2016년부터 카스 수출 활성화에 나선 오비맥주는 아시아 지역에서만 1700억원이 넘는 영업수익을 기록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영업환경이 어려웠던 지난해에도 1500억원 이상 수익을 달성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제조업자설계개발생산(ODM)이 오비맥주의 해외 사업에 날개를 달았다. 제조업체가 독자적인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지인의 기호와 입맛에 맞는 제품을 직접 개발해 해외현지 유통업체에 공급하는 수출형태로, 주문자의 요구에 의해 제품을 만드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보다 한 차원 높은 기술력을 선보였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자체 브랜드 수출을 늘리는 것이 중점계획 중 하나이며 카스의 해외시장 수출 본격화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라며 "몽골 등 아시아시장 판로개척 성공사례를 발판으로 국가별 차별화된 마케팅 등을 통해 수출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국산맥주 세계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중소기업 제주맥주는 유럽 지역에 제주 에일 시리즈 3종의 수출을 시작한다. 수출 지역은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동유럽 주요 국가이며 추후 유럽 전역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제주맥주는 유럽 수출을 위해 영국 유통 전문 업체 테스코, 창고형 마트 코스트코, 대형 직영 매장 코리아마트 15개를 포함, 유럽 전역 2만여 점포 유통망을 확보했으며 레스토랑 등 유흥 채널 1200여 개 매장도 확보한 상태다.

 

전통주 사업의 경우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실적 등이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국순당의 수출액은 79억4500만원으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 71억300만 원보다 더 늘었다. 올해 상반기 수출액은 55억7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수출액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분기에 수입산 쌀값이 20% 올랐지만 국순당의 막걸리 매출은 1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늘었고, 백세주 매출 또한 전년 동기 대비 19% 상승했다.

 

국순당 역시 올해 영국 등 유럽 국가에도 진출하며 약 20개까지 수출국을 확대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팬데믹에도 주류 수출액이 2억6184만 달러로 2010년대 이후 연간 수출액 규모로 역대 2~3위권에 오른 만큼, 주류도 K-푸드처럼 한국을 대표하는 수출품목에 이름을 올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