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가계부채 규제강화 조짐에도, 중금리 대출은 '훨훨'

'가계대출을 줄이라'는 금융당국의 압박에도 '중금리 대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은행들이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롭고,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는 중금리 대출을 확대하고 있어서다. 다만 중금리 대출의 경우 중·저신용자가 대상인 만큼 부실 가능성이 커 추후 금융당국의 규제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시중은행, 고소득자 대출제한…중금리대출 늘어

 

23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중금리 신용대출(연4~6%) 비중은 전월(10.68%) 대비 2%포인트(p) 증가한 12.74%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5.18%와 비교하면 7.56%p 증가한 수준이다.

 

중금리 신용대출은 신용점수 하위 50% 차주(신용등급 기준 4등급 이하)에게 공급되는 대출을 말한다. 시중은행의 중금리 대출 상한은 연 6.5%다.

 

반면 고신용자 대출비중은 빠르게 감소했다. 지난달 4%대 미만 신용대출 비중은 81.26%로 전달(83.4%)대비 2.14%p 줄었다. 지난해 말 91.06%가 고신용자 대출상품인 것과 비교하면 대폭 감소했다.

 

5대 시중은행 금리별 대출현황/은행연합회

이처럼 시중은행들이 중금리 대출을 확대한 배경에는 고소득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규제가 강화되고 있어서다. 앞서 금융당국은 고소득자의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주식, 부동산에 투자하는 '빚투'(빚내서투자) 급증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1억원 이상 신용대출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40%이내로 제한했다.

 

시중은행들은 고소득자에 속하는 전문직 대출상품의 한도를 낮추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10일 최대 2억원이었던 전문직 전용대출 상품 대출 한도를 연소득 100%로 줄였다. 하나은행은 연초 의사·한의사 대상 '닥터클럽대출'과 변호사 대상 '로이어클럽대출' 등의 기본한도를 1억50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내렸다.

 

금융권 관계자는 "투기수요 증가로 가계부채 축소를 위해 연소득 한도를 일괄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었다"며 "때문에 연봉이 많았던 고소득자 대출은 줄고 중저소득자를 대상으 로한 중금리대출이 늘었다"고 말했다.

 

◆ 인터넷은행 "올해 중금리 대출 목표치 문제없어"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 전문은행도 중금리대출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앞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중금리 대출 목표치를 올해말 각각 20.8%, 21.5%에서 25%로 제시했다. 토스뱅크는 34.9%에서 내년 42%까지 늘릴 예정이다.

 

인터넷은행 중금리 대출 확대 계획/금융위원회

카카오뱅크는 지난 6월부터 고도화된 신용평가모형을 적용해 중저신용고객 대출 한도를 최대 1억원으로 상향하는 등 대출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 이달 초에는 중신용 플러스대출, 중신용 비상금대출 등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상품을 출시했다.

 

카카오뱅크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공급한 대출액은 6월 867억원에서 7월 1140억원, 8월 2674억원으로 증가했다. 3개월 간 공급액은 5020억원으로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대출비중이 12%를 넘어선 만큼 목표치엔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다.

 

케이뱅크도 신규로 신용대출을 받는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두달 치 이자를 지원해 주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내 대출을 받은뒤 3개월, 12개월째 이자를 납입하면 다음날 바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중에서도 상환능력이 좋은 고객을 판별하는 등 신용평가시스템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올해 중금리대출 목표치는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토스뱅크도 오는 10월 출범시기에 맞춰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중금리 대출을 출시한다. 토스 금융플랫폼을 통해 쌓인 금융정보, 통신비 납부실적, 자산규모 등을 활용해 신용도를 평가하겠다는 복안이다.

 

다만 이처럼 중금리 대출이 확대되면서 금융당국의 규제표적에 오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결국 중금리 대출이 가능한 대상도 한정적인만큼 부실이 확대될 경우 규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저축은행에서 고금리를 이용하다가 인터넷은행의 중금리 대출로 갈아타는 사람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결국 시중은행이나 인터넷은행에서 한도경쟁이 일어날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중저신용자의 부실이 높은 만큼 규제에서 자유로울 순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