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SK이노베이션, 포드와 현지 배터리 공장에 13조 투자…연간 200만대분 생산

켄터키주 블루오벌시티 조감도 /포드

SK이노베이션이 포드와 손 잡고 미국에서 가장 큰 배터리 생산 공장을 만든다. 전기차를 연 215만대 생산할 수 있는 규모. 현지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과 포드는 28일(현지시간) 테네시주 스텐튼과 켄터키주 글렌데일에서 각각 배터리 생산 부지를 발표하는 행사를 열었다.

 

행사에는 포드의 빌 포드 회장과 짐 팔리 사장, SK이노베이션 지동섭 배터리사업 대표를 비롯해 테네시 빌 리 주지사와 켄터키 앤디배셔 주지사 등 현지 인사들까지 대거 참여했다.

 

이 공장은 양사 배터리 합작법인인 블루오벌SK가 운영하게 된다. SK이노베이션은 지분의 50%인 44억5000만달러(한화 약 5조1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하고 27일 이사회를 열고 결의를 한 바 있다.

 

포드와 SK이노베이션이 투자하는 금액은 총 114억달러(한화 약 13조원)에 달한다. 미국에서 진행된 배터리 공장 투자 중에는 가장 큰 규모다. 포드도 118년 역사상 가장 큰 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 /SK이노베이션

공장 배터리 생산 능력은 총 129기가와트시(GWh)다. 테네시 공장은 470만평 부지에 43GWh, 켄터키 공장은 190만평 부지에 86GWh로 건설된다. 테네시 공장은 포드 전기차 생산 공장도 함께 자리를 자는다.

 

이는 60kW 배터리 전기차를 연간 215만대 생산할 수 있는 숫자다. 2020년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320만대)의 67%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

 

당초 SK이노베이션과 포드는 합작법인 규모를 60GWh로 밝혔지만, 포드의 전기 픽업 트럭 F-150이 예상보다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투자 규모를 대폭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로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시장에서 배터리 업계 선두로 앞서가게 됐다. 앞서 조지아주 단독 공장에도 투자한 상황, 미국에서만 150GWh 생산 능력을 확보하면서다. 2025년까지 전세계 200GWh 생산 능력 확보 계획도 조기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지 투자 환경도 우호적이다. 최근 미국은 현지에서 생산한 배터리와 전기차에 각종 세금 혜택과 인센티브를 제공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 밖에도 전기차 전환을 위한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는 만큼, SK이노베이션은 현지 리더십을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터리 공장 위치 /SK이노베이션

빌 포드 포드 회장은 "지금은 전기차로의 전환을 이끌고 '탄소 중립 제조'라는 새로운 시대를 여는 변화의 순간"이라며 "포드는 혁신과 투자로 미국인들이 환호하는 전기차를 만들면서도 지구를 보호하고 나아가 국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짐 팔리 포드 사장은 "더 나은 미국의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수 십년 동안 이뤄진 투자 중 가장 큰 규모의 투자를 단행했다"며 "일자리 창출, 탄소 중립 제조 시스템 구축, 지역사회 기여, 주주 가치 창출 등 다수를 위해 성장하는 획기적인 전기차 사업을 펼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동섭 SK이노베이션 배터리사업 대표는 "과감한 친환경 전기차 전환을 통해 자동차 산업 역사에 새로운 장을 열어가는 포드와 협력하게 돼 자랑스럽다"며 "SK이노베이션은 블루오벌SK를 통해 함께 도약하고 더욱 깨끗한 지구를 만들기 위한 공동의 비전을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