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해외증시

[해외주식 Click] 서학개미, 고위험 ETF·ETN에 과감한 베팅

순매수 상위 종목 중 4개가 3배 레버리지 상품
'헝다사태' 이후 홍콩H지수 ETF 2위로 급등

글로벌 투자자들이 숨을 고를 때, 서학개미들은 더 과감하게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주 글로벌 시장은 중국 헝다그룹 파산 이슈와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리스크 등이 확산되면서 크게 흔들렸다.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심리가 강해지면서 글로벌 자금은 채권형 ETF(상장지수펀드)로 향했지만 서학개미들은 대형 기술주로 구성된 지수를 추종하는 ETF와 ETN(상장지수증권)을 적극적으로 저가매수했다.

 

29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9월 20일~9월 24일)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순매수 상위 10개 종목 중 4개가 고위험 ETF 및 ETN이었다.

 

지난 3개월간 TQQQ 주가 및 거래량 추이. /야후 파이낸스

먼저 투자자들은 나스닥1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고위험 레버리지 상품인 프로셰어즈 울트라프로 QQQ ETF(TQQQ)를 가장 많은 9805만달러(약 1159억원)어치나 사들였다. TQQQ의 주가는 헝다그룹 파산 이슈가 불거진 지난 20일(현지시간) 전 거래일 대비 6.15% 하락한 133.49달러로 장을 마감한 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1개월 수익률은 19.41%, 3개월 수익률은 34.23%, 연초 대비 수익률은 34.76%를 기록 중이다. 마찬가지로 고위험 상품인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SOXL)가 순매수액 3048만달러(약 360억원)로 3위를 차지했다. SOXL은 뉴욕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추종한다. FANG(페이스북·아마존·넷플릭스·구글)을 포함해 미국의 대형 기술주 10개 종목을 10%씩 담은 후 3배로 추종하는 몬트리올은행의 마이크로섹터 FANG 지수 3X ETN(FNGU)가 4위(2680만달러, 약 317억원)로 뒤를 이었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비자 등 대형 기술주를 3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테크놀로지 불 3X ETF(TECL)도 10위로 순위권에 들면서 서학개미의 과감한 투자 양상을 반영했다.

 

지난주엔 이례적으로 홍콩거래소에 상장한 종목이 2개나 순위권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위로 급등한 홍콩H지수 ETF(7612만달러, 약 880억원)와 7위에 오른 글로벌 X의 중국 전기차·배터리 ETF(1843만달러)가 그 주인공이다. 헝다그룹 파산 리스크로 홍콩 주식시장이 타격을 입은 가운데 서학개미들이 반발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홍콩H지수는 지난 20일 전 거래일(8940.47포인트) 대비 3.38% 급락한 8638.55포인트로 장을 마친 이후 등락을 거듭하는 중이다.

 

지난 6개월간 홍콩H지수 ETF의 주가 및 거래량 추이. /블룸버그
2020년 12월 15일 상장 후 업스타트의 주가 및 거래량 추이. /블룸버그

메이투안(8.17%), 텐센트(8.08%) 등을 담고 있는 홍콩H지수 ETF의 3개월 수익률은 -20.14%, 연초 대비 수익률은 -16.56%를 기록하고 있다. 중국의 1위 리튬업체인 간펑리튬(9.72%), 중국 전기차 업체인 BYD(8.87%) 등을 담고 있는 글로벌 X ETF의 경우 3개월 수익률은 17.91%, 연초 대비 수익률은 36.39%다. 홍콩H지수와 글로벌 X ETF의 주가는 지난 20일 각각 3.56%, 3.65% 하락한 87.68홍콩달러, 178.05홍콩달러까지 떨어진 바 있다. 서학개미의 열띤 ETF 매수세 속에서도 개별 종목인 마이크로소프트와 ASML이 순위권을 유지한 가운데, AI 기술로 신용을 평가하는 대출 플랫폼 업스타트가 9위(1217만달러, 약 144억원)로 새롭게 순위권에 진입했다. 업스타트의 주가는 지난해 12월 상장한 후(최초 공모가 20달러) 몇 번의 부침을 겪으면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7일 주가는 331.99달러(종가 기준)를 기록했다.

 

투자전문매체인 모틀리풀은 "주가가 광적으로 빠르게 오르고 있어서 곧 급락을 겪는대도 이상할 게 없다"면서도 "업스타트의 펀더멘탈이 좋고, 여러 은행과 협업을 확대해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성장 가능성도 더 강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