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제6회 물류&e-모빌리티포럼]김종신 CJ대한통운 부장 "이커머스가 오프라인 쇼핑 대비 41%까지 확대될 것"

김종신 CJ대한통운 이커머스사업팀 부장이 28일 서울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메트로신문 주최로 열린 '물류 & e-모빌리티 포럼'에 참석해 강연하고 있다. / 손진영기자

"유통시장 거래를 살펴보면 2025년 이커머스 쇼핑이 오프라인 쇼핑과 비교했을 때 41%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김종신 CJ대한통운 이커머스사업팀 부장은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와 물류기업의 역할'을 주제로 향후 전개될 물류와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산업의 변화에 대해 전망했다.

 

국내 이커머스 시장은 인터넷 발전 및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 127조 규모로 성장했다. 이커머스 소비는 생활과 밀접한 상품들의 비중이 높게 차지하는 가운데 배송경험의 축적으로 패션, 화장품까지 비중이 확대되고 연평균 성장률(CAGR)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쿠팡과 마켓컬리 예를 보면 쿠팡은 전 소비재 생필품부터 기저귀까지 판매하며 생필품을 기반으로 성장을 해왔고 마켓컬리 같은 경우에는 식품을 빨리 받아보고 싶어 하는 소비자를 공략해 성장했다.

 

김 부장은 향후 이커머스 시장의 방향을 ▲고객(Customer) ▲네트워크(Network) ▲경쟁(Corporation) 세 가지로 구분했다.

 

첫 번째로 고객들이 쿠팡 로켓배송, 컬리 샛별배송 경험 증가, 코로나19로 빠른배송의 경험이 전 연령대로 확산됨에 따라 향후 기존 익일배송 물량 성장 정체하고 빠른배송을 중심으로 재편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두 번째로는 택배 네트워크 위주의 수용력 확대를 위한 전국 단위의 대규모 투자로 배송 서비스가 확장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빠른배송 대응을 위해 주요 도심지역 단위의 분류 센터, 수요지 인근 배송 거점에 대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 번째로 유통과 물류 기업간 경쟁의 벽이 허물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커머스 시장이 성장하면서 유통기업도 물류기업을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되고 물류기업도 유통기업을 신경 쓰지 않으면 안 되는 세상이 됐다는 것이다.

 

김 부장은 "나이키는 이제 3자 물류(물류업무를 물류전문 업체에 아웃소싱 하는 것)를 하지 않고 있다. 본인들이 직접 물류를 하고 B2C로 배송을 하고 있다"며, "이렇게 제조, 유통, 물류 그 외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모든 기업들이 벽이 허물어지고 각각 경쟁하는 체제로 전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장은 물류 트렌드를 4가지 형태로 설명했다. ▲소비자의 온라인 주문에 대한 신속 정확한 대응을 위해 e-풀필먼트 수요 증가 ▲코로나-19로 인한 이커머스 수요 증가로 속도·비대면·맞춤 배송 등 배송 요구 다변화 ▲불가항력적 외부요인에 따른 리스크 대응 및 비대면 영업 확대를 위해 물류 디지털화(Digitalization) 가속화 ▲외부요인에 따른 화주사들의 공급망 전환 지원을 위한 물류사들의 회복 탄력성(Resilience) 강화 필요성이 증대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는 "점차 발전하는 AI 기술이나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서 물류 현장에 계속 적용하고 그로 인해서 더 많은 물량을 동 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CJ대한통운은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춰 올해 초부터 이커머스본부를 만들며 대응하고 있다. 현재 CJ대한통운의 e-풀필먼트 고객사 수도 꾸준히 증가해서 작년 6월에서 12월까지 350% 증가했고, e-풀필먼트 월별 출고량은 작년 6월 대비 12월 139% 증가하며 초고속 성장을 이뤄냈다. 이를 통해 택배 총 물량수도 2019년 대비 2020년 22% 증가했다.

 

아울러 현재 디지털전환(DT)를 통한 물류 체계 자동화도 추진하고 있다. 풀필먼트 센터에 로봇 자동화를 도입한 스마트층을 만들고 입고에서 운송하기에 이르기까지 운영의 고도화를 꾀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