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지난달 수출 '558억달러' 65년 만에 최고… 11개월 연속 수출 증가

9월 총수출액·일평균수출액 동시 역대 1위
두 자릿수 수출 증가 7개월째 이어져

최근 5년간 분기별 수출액 추이(억달러)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달 수출액이 무역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6년 이후 65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추석이 포함돼 조업일수가 부족했음에도 일평균수출액도 역대 최고다. 전년대비 수출 증가세는 반도체 강세를 기반으로 11개월째 상승세로, 두 자릿수 수출 증가로 따지면 7개월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1년 9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558억3000만달러로 전년대비 16.7% 증가했다.

 

작년 9월은 코로나19 이후 7개월 만에 수출이 플러스(+7.1%)로 전환된 달로, 조업일수도 올해 9월이 2일 적음에도 전년 대비 수출이 증가했다.

 

또 두 자리 수출 증가가 7개월 연속 이어져 2017년 9월 이후 4년 만에 가장 장기간 큰 폭의 수출 증가가 이어졌다. 수출액 500억달러 돌파와 해당 월 역대 1위 수출액 경신도 7개월째다.

 

수출액은 올해 7월 역대 1위 수출액을 기록한 이후 불과 2개월 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여기에 일평균 수출액도 역대 1위를 경신, 총수출액과 일평균 수출액 모두 1위를 기록하는 수출 역사를 새롭게 썼다.

 

품목별로도 반도체·석유화학·철강 등 중간재와 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컴퓨터 등 IT 품목이 모두 두 자리 증가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반도체는 15개월 연속 증가한 가운데, 올해 들어 최고의 수출 실적(120억달러)이자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월 수출액을 기록했다. 서버용(신규 CPU출시 및 설치)과 모바일(신규 스마트폰 출시) 수요가 지속 증가하면서 연간 수출액 1000억달러 돌파를 앞두고 있다. 올해 반도체 누적 수출액은 9월까지 920억달러다.

 

반도체 외에도 세계교역 회복과 원자재 가격상승에 따라 중간재 품목인 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의 수출 호조세가 두드러졌다. 이들 3개 품목은 9월 50% 내외 높은 증가율을 기록, 최근 7개월 이상 두 자리 증가하며 반도체와 함께 최근 역대급 수출 실적을 견인했다.

 

무선통신기기(폴더블폰 등 신제품 출시)·디스플레이(스마트폰·노트북용 수요 증가)·컴퓨터(데이터센터·서버 확충) 등 IT 품목도 신규 스마트폰 출시와 비대면 경제활성화 등으로 9월 수출이 모두 두 자리 증가했다.

 

전기차(+46%)·시스템반도체(+32%) 등 유망 신산업도 역대 9월 수출액 1위다. 전기차는 유럽 내 친환경 정책으로 유럽연합(EU)과 영국으로의 수출이 급증했고, 시스템반도체의 경우는 5G, IoT, AI와 관련된 자동차·가전·통신장비 수요 증가에 따른 결과다.

 

바이오헬스·이차전지·가전·섬유는 조업일수 부족으로 -5% 내외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산업부는 "이들 품목의 주요 감소 요인은 적은 조업일수"라며 "선박을 제외한 14개 품목 모두 일평균 수출액이 플러스를 기록해, 이 업종들의 감소세가 지속되거나 수출에 큰 차질을 줄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봤다.

 

8월까지 중소기업 수출 누계액은 756억5000만달러(중소벤처기업부 집계)로 역대 1위를 차지하며 최근 수출 호조세에 큰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지역별로는 대 신남방(아세안+인도)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미국·유럽연합 수출도 역대 9월 중 가장 많다. 신남방 지역의 경우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수출 감소 우려가 있었으나, 아세안과 인도 수출이 각각 역대 9월 중 1위였다. 아세안의 경우 IT 신제품 수출과 의약품 수출 증가로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수출이 많았고, 인도의 경우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영향으로 일반기계와 무선통신 분야 수출이 증가했다.

 

중국의 경우 9월 중추절이 포함돼 있었음에도, 5G 인프라 확충과 신제품 출시, 건설경기 개선 영향으로 무선통신기기와 석유화학 부문 수출이 호조를 보였고, 수출액이 역대 9월 중 2위, 수출 증가율은 17.3%를 기록하는 등 선전했다.

 

최근 역대급 실적이 이어지면서 3분기(7~9월) 수출액이 1645억달러로 앞선 2분기 수출액(1568억달러)을 넘어서 과거 모든 분기 실적을 넘어서는 역대 1위를 기록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상반기 수출액이 역대 1위를 기록한 후 하반기부터 증가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일부 있었으나, 오히려 3분기 수출 실적이 1,2분기 실적을 상회하며 이러한 우려를 불식했다"고 설명했다.

 

9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4677억달러로 역대 1위를 기록 중이다. 남은 4분기에 448억달러 이상을 수출하면 3년 만에 연간 수출이 플로스로 전환된다. 또 남은 4분기에 1372억불 이상 수출하면 연간 수출액 최고치(2018년 6049억달러)를 경신하게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