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보험

한화생명,'MZ세대' 정조준…디지털 전환 가속화

디지털경쟁력 위한 조직개편 나서
MZ세대 겨냥 신상품도 속속 출시

한화생명이 선보인 '라이프플러스(LIFE PLUS) 구독보험(무)' 이미지. /한화생명

한화생명이 MZ세대를 위한 디지털 경쟁력 강화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새로운 형태의 '구독보험'을 선보이는 등 MZ세대와의 소통을 확대하고 있는 것.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은 최근 디지털·신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보험비즈니스를 기반으로 지속해서 성장 가능한 신사업 발굴과 실행을 위해서다.

 

한화생명은 이번 조직개편에 따라 보험, 신사업, 전략 등 '3부문' 체제로 운영한다. '3부문'은 각각의 인사·기획 등 최대한의 자율성을 가진 조직으로 부문별 주도적인 협업과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고 시장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겠다는 포석이다. 부문별 책임경영 및 부문 간 상호협력 강화를 통해 사업 실행력도 제고할 방침이다.

 

특히 대표이사 직할로 '미래경영위원회'도 신설했다. 미래경영위원회는 실질적인 컴퍼니빌딩(company building) 실행 조직이다. 보험, 신사업, 전략 부문과 상호협업해 오픈 이노베이션(OI), 드림플러스(DP) 등을 활용한 외부 파트너십 연계로 조기 사업화를 위한 패스트트랙(신속 처리)을 지원한다.

 

이 처럼 한화생명이 디지털·신사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배경은 MZ세대 고객 확보를 위해서다. 최근 MZ세대는 보험사들의 새로운 고객층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실제 MZ세대를 겨냥한 신상품도 속속 선보이고 있다. 한화생명은 지난 8월 라이프스타일 구독 솔루션 '라이프플러스(LIFEPLUS) 구독보험(무)' 3종을 출시하며 보험업계에 구독시대를 열었다.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로부터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포인트 플랫폼을 통한 보험금 지급 서비스'에 기반한 상품이다. 이 상품은 매월 보험료를 납입하면 중도보험금을 포인트로 받을 수 있다. 해당 포인트를 통해 제휴 물품 구매가 가능하다.

 

지난 1일에는 웰니스, 헬스케어 특화 기업들과 제휴를 맺어 ▲와인 ▲돌봄서비스 ▲영양제 ▲맞춤운동 등 세밀한 생활 속 혜택을 더했다.

 

한화생명은 'LILIFEPLUS 구독보험'을 통해 일상 속에서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혜택으로 고객 접점을 늘려 간다는 계획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판매 실적이나 이런 부분을 세밀하게 오픈하고 있지 않지만 기존 판매하던 보험상품에 비해 MZ세대의 가입 비율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생명의 유튜브 영상 이미지. /한화생명

한화생명은 MZ세대와의 소통을 위해 보험·금융을 비롯한 건강·블록체인·스타트업·e스포츠 등의 내용을 담은 유튜브 채널도 활발히 운영하고 있다.

 

한화생명 유튜브 채널의 인기 동영상 '대한민국 보험의 퍼스트&넥스트(First&Next), 한화생명'은 이날 기준 총 1344만회의 조회 수를 돌파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한화금융계열사(생명·손해보험·투자증권·자산운용·저축은행)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LIFEPLUS 유튜브 채널을 통한 MZ세대들의 관심도 높은 모습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과거 보험시장에서는 경제활동을 하는 30대가 주요 타깃층이였지만 시간이 지나 인터넷 등이 활발해지면서 보험에 대한 MZ세대들의 접근성이 높아졌다"며 "보험사도 MZ세대 고객 확보를 위해 관련 상품이나 사업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