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SK텔레콤, 업계 최초 '뱅앤올룹슨' 사운드 구현한 셋톱박스 'AI 사운드 맥스' 출시

/SK텔레콤

뱅앤올룹슨 사운드가 셋톱박스에서도 구현된다. 인공지능 '누구'도 지원한다.

 

SK브로드밴드는 'AI 사운드 맥스'를 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제품은 사운드바 일체형 셋톱박스로,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인 뱅앤올룹슨과 함께 개발했다. 국내 IPTV 업계 셋톱박스 중 뱅앤올룹슨과 협업한 것은 처음이다.

 

SK브로드밴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프리미엄 홈미디어에 대한 고객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 최고 사운드 장비와 최신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AI 사운드 맥스'를 기획했다.

 

'AI 사운드 맥스' 사운드바는 뱅앤올룹슨의 까다로운 음질 검증 시스템을 통과하고 'audio by B&O' 마크를 새겼다. 안방에서도 오디오 전문 브랜드가 조율한 음향을 활용, 영화관이나 공연장에서처럼 생생하고 몰입감 넘치는 명품 사운드로 B tv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별도의 추가 스피커 없이도 음질의 생동감·공간감 구현이 가능한 'Auro 3Dⓡ' 솔루션을 적용해 최적의 3D 음향도 제공한다. 확연히 차이가 나는 사운드 넓이와 높이 폭을 체험할 수 있다.

 

B tv 콘텐츠들의 메타정보를 기반으로한 최적화된 음장모드 기능도 자동 지원한다. 뉴스 시청시 아나운서 목소리를 더 또렷하게 구현하거나, 영화나 음악 감상시 저음·중음·고음 모두 놓치지 않고 사운드 밸런스를 잡아주는 등이다.

 

외관은 가로형(780x97x64mm) 으로, 우퍼 40W 2개와 풀레인지 15W 2개의 스피커를 장착해 최대 110W의 높은 출력을 자랑한다. 또 스피커에 사운드 특화 처리 기술인 'Quad Core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칩을 탑재해 각 스피커 유닛별 제어로 균형 있고 최적화된 음질을 지원한다.

 

'누구'도 지원한다. 누구는 SK텔레콤의 음성인식 기반 AI 서비스로, 음성 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주변 노이즈를 제거하고 음성 인식을 향상하는 전처리 솔루션과, 4개 마이크로 발화 음성을 인식하는 빔포밍 기술 등을 적용했다. 구글 어시스턴트와 유튜브 등도 사용 가능하다.

 

인테리어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최근 트렌드인 모던함과 따뜻함을 반영한 웜 블랙 컬러에 편안하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설계했다.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21' 제품 디자인 부분 본상도 수상했다.

 

가격은 'B tv+인터넷' 결합상품 신규 가입 고객에 월 8800원(3년 약정), 'B tv All+Giga 인터넷' 결합상품 신규 가입 고객에 월 6600원으로 제공된다. 기존 고객은 사용 중인 본인의 셋톱박스 종류에 따라 월 2200원(AI 스피커형), 4400원(UHD·스마트형)을 추가하면 된다.

 

던컨 맥큐 뱅앤올룹슨 부사장은 "''AI 사운드 맥스'는 덴마크의 세계적인 음향 엔지니어가 튜닝한 제품으로 SK브로드밴드와 긴밀히 협력해 오디오 아키텍처를 개발했다"며 "그 결과 고객이 가장 좋아하는 콘텐츠에 최적화된 사운드 경험을 제공하는 사운드바 일체형 셋톱박스가 탄생했고 앞으로도 SK브로드밴드와 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상범 SK브로드밴드 프로덕트트라이브장은 "세계적인 명품 사운드 뱅앤올룹슨과의 협업을 통해 최고 품질의 사운드를 가정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오감을 자극하는 차별화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