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철강/중공업

국내 철강업계 3분기 '역대급 실적' 고공행진 예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전경.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철강업계가 '위드 코로나'와 '중국발 전력난' 등 여러 호재가 이어지면서 실적 고공행진을 예고했다.

 

포스코가 지난 3분기 사상 최초로 영업이익 3조원을 돌파한 가운데 다른 철강업체도 국내외 철강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세 등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경신할 수 있단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8일 3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현대제철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현대제철의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은 73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000% 이상 증가가 예상된다. 분기별 기준 역대 최대치인 전분기의 5453억원보다 2000억원 가까이 많은 규모다. 매출액은 39.2% 증가한 6조2104억원, 당기순이익은 5017억원으로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컬러강판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동국제강도 호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내달 중순께 실적을 발표하는 동국제강의 3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전년 동기 대비 172.6% 증가한 2337억원이다. 최근 10년래 최대치인 전분기의 2070억원보다 267억원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매출액 역시 48.4% 증가한 1조9260억원, 당기순이익은 286.9% 늘어난 1432억원으로 추정된다.

 

동국제강의 실적 개선은 컬러강판 판매량 증가에 따른 것이다. 컬러강판은 열연강판에 표면처리를 해 색깔을 입힌 강판으로 최근 컬러가전 인기와 건축자재 사용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8월 컬러강판 생산량은 157만9460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130만7591톤)보다 20.8% 늘었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 13일 3분기 연결 기준 잠정 영업이익은 3조1100억원으로, 분기 실적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발표 직전 시장의 컨센서스보다도 19.8% 높은 수준이다. 또 포스코가 이같은 성과를 기록할 수 있는 배경에는 최정우 회장이 강조한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자리하고 있다. 3분기 포스코의 비(非)철강 부문 영업이익은 8100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4049억원)의 두 배에 달한다. 2분기(5943억원)에 비해서도 36.3% 증가했다.

 

국내 철강사들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수 있는 배경에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산으로 세계 경기가 본격적인 회복세로 접어들면서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전방산업의 철강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내수 집중과 탄소중립을 강화하고 있는 중국이 철강 감산과 수출량을 줄인 것 또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철강 최대 생산국인 중국은 연간 5000만~1억톤이 넘는 철강재를 수출하며 글로벌 철강시장의 공급과잉은 물론 저성장의 늪에 빠져들게 했다. 하지만 올해 수출량을 줄이면서 세계 시장에 공급과잉 현상이 사라졌고, 여기에 수요까지 회복되며 철강재 가격은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중국이 석탄 부족으로 인한 전력난에 폭우까지 겹치면서 전력난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수익성 개선도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철강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 하락한 반면 철강재 가격은 상승하면서 올 하반기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라며 "수출 시장은 물론 내수 시장 분위기도 좋기 때문에 실적에 대한 철강업계의 분위기는 고무적이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