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재계

LG전자, 온실가스 감축 목표 검증…'탄소중립' 노력 지속

LG전자 태국 생활가전 공장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 패널 /LG전자

LG전자가 탄소중립 실현에 한걸음 더 나아갔다.

 

LG전자는 최근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받았다고 31일 밝혔다.

 

SBTi는 2015년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세계자원연구소(WRI), 세계자연기금(WWF) 등이 공동 설립한 글로벌 연합기구다.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검증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7월 국내 기업 처음으로 '비즈니스 앰비션 포 1.5℃에 참여한 바 있다. 비즈니스 앰비션 포 1.5℃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탄소중립을 실현하자는 글로벌 캠페인으로, 산업화 이전과 대비해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한다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LG전자는 제품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직접 온실가스 배출(Scope 1)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Scope 2), 제품 사용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Scope 3)까지 3단계에 걸쳐 목표를 설정했다. 2단계 목표는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54%, 3단계 목표는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20% 감축하겠다고 약속했다.

 

LG전자는 SBBi에서 이같은 감축목표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검증받았다. 영국 카본트러스트가 주관하는 '루트 투 넷 제로 아시아' 컨퍼런스에서 온실가스 감축 우수 기업으로 활동과 사례 등을 공유하기도 했다. 탄소발자국과 물 발자국 인증 제품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확대 계획도 세웠다. 2030년까지 60만톤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사용한다는 방침, 2006년부터 2030년까지 폐전자제품을 회수하겠다는 목표치도 450만톤에서 800만톤으로 대폭 상향했다.

 

LG전자 품질경영센터 김준호 부사장은 "이번 검증은 LG전자가 진정성 있게 환경에 기여하며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혁신적인 기술과 축적해온 경험을 활용해 품질뿐만 아니라 탄소중립과 순환경제에 기여하는 제품을 지속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