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서울 내 68개 특성화고교서 2022학년도 신입생 1만2천명 선발

미래인재전형, 학교별전형, 일반전형 등 23일 접수 시작

2022학년도 특성화고 신입생 선발 포스터/서울시교육청 제공

서울 관내 특성화고등학교 68개교에서 오는 23일 미래인재전형, 학교별전형, 일반전형 등으로 신입생 선발전형을 시작한다.

 

7일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에 따르면, 2022학년도 특성화고등학교 신입생 선발전형을 23일부터 시작한다. 2022학년도에는 서울 관내 특성화고 68개교에서 총 1만2112명을 선발한다.

 

특성화고등학교 신입생 선발전형은 미래인재전형, 학교별 특별전형 등 특별전형과 일반전형으로 나뉘어 실시된다. 특별전형의 원서접수 기간은 23일과 24일이다. 일반전형 원서접수 기간은 11월 30일과 12월 1일 이뤄진다.

 

◆ 43교는 전국 단위 모집…3개 학교는 기숙사 운영

 

특성화고 특별전형 중 미래인재전형은 출결, 봉사활동, 학업계획서 및 자기소개서, 심층면접으로 평가가 진행된다. 취업과 창업 의지가 명확하고 성장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을 선발한다.

 

특성화고 일반전형은 중학교 고입석차연명부의 개인별 석차백분율을 기준으로 선발하며, 특별전형에서 탈락한 학생도 다시 한번 지원할 수 있다.

 

서울 소재 68개 특성화고 중 43교는 전국 단위 모집을 한다. 이중 경기기계공고, 서울관광고, 서울영상고 등 3개 학교는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마음껏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도래로 급변하는 산업 기술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컴퓨터과, 메타버스게임과, 콘텐츠크리에이터과, 반려동물케어과 등 39개 학과를 신설해 미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기술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입학을 희망하는 특성화고에 관한 정보는 각 학교의 누리집 또는 특성화고 입학·취업 누리집 하이잡에서 확인할 수 있다. 카카오채널에서 '서울시교육청 특성화고'를 검색하여 추가하면 학교별 학과 정보 제공 및 입학상담을 받을 수 있다.

 

◆ 자격증·어학시험 준비금 등 최대 100만원 지원…70여개 대학, 특성화고 출신 우대

 

특성화고를 진학하면 서울시교육청의 드림성장지원 바우처를 통해 국가기술 자격증 취득, 어학 공인인증시험 준비금 등 자기계발에 필요한 비용을 매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공무원·공공기관 고졸인재 채용도 확대되고 있다. 국가직 공무원 지역인재 9급은 총 선발인원의 20%, 지방직 9급 기술직은 선발인원의 30%, 서울시교육청 지방직 9급 기술직은 50%까지 확대 채용할 계획이다.

 

특성화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학습을 지원하는 정책도 확대되고 있어 전국적으로 70여개 대학에서 특성화고를 졸업한 재직자 대상으로 특별전형을 확대해 선발하고 있다.

 

이조복 진로직업교육과 취업지원팀 과장은 "지방공무원법 개정을 통해 기술분야로 한정돼 있던 고졸 인재 채용을 모든 분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지방공기업 고졸 채용 목표제가 신규 도입 추진돼 고졸채용이 확대될 예정이고 기업 경영 평가 시 고졸 채용 성과가 평가 지표에 포함돼 채용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