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여성=젖소' 우유업계 왜 이러나

우유업계가 최근 성 인지 감수성 부족 논란에 휘말렸다. 서울우유와 우유자조금협회의 콘텐츠가 소비자들의 입방아에 오르면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서울우유)가 최근 여성을 젖소에 비유한 광고로 곤욕을 치른 가운데 우유업계를 대표하는 법정단체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도 과거 여성을 젖소로 빗댄 콘텐츠를 제작한 것으로 드러나 비난받고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2014년 위원회 홍보를 위해 웹툰 '춘봉리 사람들'을 제작했다. 해당 웹툰에는 춘봉리에서 우유 카페 '밀키웨이'를 운영하는 여성 캐릭터 '밀키'가 등장한다. 문제가 되는 것은 밀키의 복장이다. 젖소를 연상시키는 얼룩무늬의 짧은 원피스를 입고 등장하며 마을 사람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는 캐릭터로 묘사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축산자조금 관련 법률을 근거로 설립된 법정단체로 농림축산식품부 관리와 감독을 받는다. 공공기관의 상황도 이렇다보니 우유업계 전반에 여성 비하 인식이 존재하는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지나치게 선정적인 복장과 여성의 외모 평가가 홍보 웹툰에 등장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성인지 감수성 부족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해당 웹툰은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의 공식 홈페이지뿐 아니라 공식 블로그에서도 삭제 비공개처리됐다.

 

앞서 서울우유는 지난달 29일 유기농 우유 광고 영상을 자사 유튜브 채널에 올렸다. 52초 분량의 광고영상은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연출됐다. 한 카메라를 든 남성이 강원도 철원에서 서울우유 유기농 우유의 비밀을 포착했다는 내용이다. 영상에서 남성은 흰 옷을 입은 여성들이 강원도 청정 풀밭에 있는 모습을 카메라로 촬영한다. 잠시 후 남성이 나뭇가지를 밟아 소리가 나자 여성들은 고개를 돌린 뒤 젖소로 변한다. 내부 확인 절차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놓고 여성을 젖소에 빗댄 광고가 버젓이 게재되었다는 것은 우유업계 내부에 여성에 대한 인식이 잘못 확립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젖소' 비유 외에도 몰래 촬영한다는 콘셉트도 문제다. 불법 촬영 범죄를 연상하게 하는 콘셉트의 영상을 게재했어야 했는지 의문이다.

 

소비자들이 완전히 등 돌리기 전에 성인지 감수성 부족에 대해 인정하고 자성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