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이수준의 부동산 수첩] 아파트, 지금이라도 사야할까

이수준 로이에아시아컨설턴트 대표

1970년대 서울은 풍선이 부풀어 터지듯이 강남개발을 시작했다. 그 이후로 수십여년간 강남, 분당, 판교 등으로 신도시가 확장되는 과정은 당연히 예견된 일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사회문제를 막기 위해 이를 규제하고 국민들의 관심을 돌리려는 노력도 늘 병행되어 왔다. 늘어나는 인구의 수용을 위해 건설되었던 수많은 아파트들은 지금은 주거의 기능을 넘어서는 중산층의 커뮤니티를 형성했고, 기술적 발전도 거듭하여 지금까지 안정적인 보유수단, 자산증식 수단으로 자리 잡아 왔다.

 

사실상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전세제도는 보유 주택 수를 늘려가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실거주용 1주택 외에 전세 끼고 한 채 더, 담보대출을 이용해서 다시 전세 끼고 한 채 더, 그리고 몇 년 뒤 전세금을 올려받은 돈으로 다시 한 채 더….

 

그렇게 부지런히 보유 주택 수를 늘려간 사람들은 물가가 올라가고 서울의 인구가 늘어가면서, 빠르게 부를 쌓았다. 근래에는 다주택자가 근면의 상징보다는 사회악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우리 주위에는 저마다의 사정으로 인해 2주택, 3주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고, 일부 계층의 잉여주택보유는 주택거래의 유동성으로도 이용되는 순기능도 있었다.

 

주택시장 과열의 문제는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다. 아파트 입주를 위한 치열한 경쟁은 늘 그 시대의 사회적 이슈를 담고 있었다. 지금은 다자녀를 둔 부모에게 특별공급자격을 부여하지만, 1970년대 반포주공아파트 분양 당시에는 불임시술을 받은 부부에게 가산점을 주었다. 중동 건설 붐이 한창일 때는 해외 파견근로 가산점도 있었다. 그렇게 70년대 여명기를 지나서 80년대 양적 팽창, 그 이후 버블시기를 거쳐 잠시 저성장기로 접어들고, 다시금 폭발적인 과열을 맞이했다.

 

2020년대의 과도한 주택가격 상승분에 대해 비관론이 있지만, 여러가지 변수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은 우상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도 서울 및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적어도 완만한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보아도 지속적인 가구의 분할, 글로벌 시대의 인구 유동성, 자본유입 등 가격상승이 유지될 동력은 많다.

 

세제 개편등 여건이 악화됨에도 자산증식 수단으로서의 아파트 역할은 여전히 비중이 클 것이다. 상가나 사무실은 '의식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만일 미래 산업의 마케팅, 모든 상거래형태가 전산화되고, 비대면 산업분야의 성장으로 상업용 부동산이 저물어 가더라도 내 몸 누일 공간은 여전히 필요할 수밖에 없다. 아직까지 아파트는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용·관리할 수 있는 주거의 형태이고, 그 기능과 구조는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것이다. 먼 미래가 아닌 지금 강남의 재건축 설계만 보더라도 재택근무시대, 1인 사업체 시대에 따라 기술, 환경, 변화된 소비 패턴의 접목, 주민 네트워크까지 극대화시키는 첨단기술의 집결체가 되어가고 있다.

 

'주택 시장의 미래가 밝다'는 말을 누군가는 가격상승으로, 다른 누군가는 하락으로 받아들인다. 서로 다른 계층, 이익집단에 따라 평가도 전망도 엇갈릴 수 있다. 그러나 근간의 정책 실패로 인한 수요의 집중이든, 단기 상승에 따른 피로감이든 이 모든 것들이 건국이래 길고 긴 부동산 차트에서 본다면 하나의 작은 점들에 불과하다. 적어도 내가 들어가서 살 집은 이러한 작은 점이 아닌, 온전히 내 필요에 따라 좌우되어야 하지 않을까.

 

어느 시대에나 법률과 계도를 뒷받침하는 주장들은 서민들의 마음을 달래 왔다. 그리고 지역과 시기의 편차에도 전체적인 부동산 시장은 늘 성장해왔다. 지금 시장을 관망하고 있는 실수요자들도 실거주 목적의 주택구입이라면 긍정적으로 고려해 볼만 하다. /이수준 로이에 아시아컨설턴트 대표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