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대그룹이 현대자동차그룹을 끝으로 연말 조직개편·인사를 마무리 짓고 새해 맞이에 분주하다. 이번 인사는 파격적인 인사를 통한 '세대교체'와 미래 먹거리를 위한 '신사업'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은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미래 산업 전문가인 젊은 인재를 대거 발탁해 새해부터 미래 신사업 추진에 속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다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그동안 그룹의 성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인사까지 교체하는 초강수로 경영 방침을 세웠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핵심 주역과 젊은 인재를 적절하게 배치하며 '안정과 혁신'을 선택했다.
19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의 '2022 임원인사'는 세대교체를 통한 인적 쇄신과 함께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개발(R&D)과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에 중량감 있는 인사를 배치하고 과감한 승진 발탁을 단행했다.
이재용 부회장의 삼성은 오너만 빼고 모든 것을 교체하는 초강수를 던졌다. 이 부회장의 '뉴삼성'을 위한 조직 내 세대교체 의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 성공주역 '김기남 부회장, 김현석 사장, 고동진 사장으로 이어지는 빅3 대표를 한번에 교체했다. 그 자리를 50대 한종희 부회장과 경계한 사장 투톱체제로 전환했다.
삼성전자는 기존 소비자가전(CE), 모바일(IM), 반도체(DS) 세 개 사업 가운데 CE와 IM 부문을 통합, 세트사업을 담당하는 DX부문을 새롭게 출범시켰다. 이 부회장은 30대 상무 4명, 40대 부사장 10명을 과감하게 발탁했다. 최근 미국 출장 이후 '시장의 내혹한 현시을 직접 보고 오게 되니 마음이 무겁다'고 말한 이 부회장의 위기감이 업계 예상을 뛰어넘는 인사 혁신으로 이어졌다. 혁신적인 조직개편과 젊은 인재 확보 등을 통해 미래 먹거리 발굴에 속도를 높일 전망이다.
정의선 회장이 이끌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지난 17일 역대 최대 규모의 인사를 단행했다. '장수 부회장'의 해체를 선언함과 동시에 40대를 앞세운 인사로 정보통신기술(ICT), 자율주행 등 신기술·사업 분야에서의 혁신 의지를 확인했다. 특히 외부 영인보다 내부 발탁 인사가 많은 것도 눈길을 끈다.
그룹의 중심 윤여철 부회장과 자동차의 핵심 이원희·이광국·하언태 사장은 일선을 떠났다. 대신 정의선 회장 2년 차를 이끌어 갈 미래사업 전문가를 전면에 내세웠다. 미래성장기획실장 김흥수 부사장, 수소연료전지사업부장 임태원 부사장, 자율주행사업부장 장웅준 전무가 현대차그룹의 미래 사업을 이끄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모두 정 회장의 미래 신사업 분야에 배치된 만큼 향후 정 회장 친정체제를 견고히 할 인사로 부각됐다. 정 회장은 이번 인사에서 신규 임원 승진자 3명 중 1명은 40대로 구성했고 연구·개발(R&D) 부문에 힘을 실었다. 현대차그룹은 이를 바탕으로 인포테인먼트, 정보통신기술(ICT),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최태원 회장의 SK와 구광모 회장의 LG는 삼성, 현대차그룹과 똑같이 세대교체에 나서면서도 안정을 택했다. SK그룹은 이를 바탕으로 첨단소재와 친환경(그린), 디지털, 바이오 등 4대 사업을 가속한다. 배터리·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사업에서 글로벌 톱 티어 회사로 도약하는데 집중한다.
SK는 SK이노베이션 김준 사장과 SK(주) 장동현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키며 전문경영인 부회장단을 기존 4명에서 6명으로 확대시켰다. 특히 최 회장은 친동생 최재원 수석부회장을 경영복귀와 동시에 그룹의 미래 핵심 계열사로 주목받고 있는 SK온 지휘봉을 잡았다. 빠른 결정이 가능한 오너경영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사업격차를 줄인다는 의지다.
SK그룹 인사에서도 세대교체가 두드러졌다. 부사장 이하에선 대규모 세대 교체가 진행됐다. 신규 임원 133명 중 절반가량이 30~40대였다. 노종원 SK하이닉스 사업총괄의 40대 사장에 이어 이재서 SK하이닉스 전략기획 담당인 30대 부사장까지 탄생했다.
LG그룹은 구광모 회장이 취임한 2018년 이후 최대 규모의 인사를 단행했다. 최대 규모인 132명(LX계열 제외)의 신임 상무를 발탁을 통해 한층 젊어진 LG로 거듭났다. 40대 임원들도 많이 눈에 들어온다.
LG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LG전자는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신성장동력 발굴을 가속화하기 위해 최고전략책임자(CSO)부문 M&A실을 M&A담당으로 격상했다. 최고데이터책임자(CDO) 부문에서는 디지털전환 가속화를 위해 AI빅데이터실을 AI빅데이터담당으로 높였다. 또 LG전자 최고경영자(CEO)를 교체하고, 신임 임원은 이전 주축인 50대가 아닌 40대를 중심으로 대거 발탁했다.
반면 구 회장을 측근에서 보좌했던 권영수 부회장은 LG그룹의 핵심으로 떠오른 LG에너지솔루션 대표를 맡게 했다.
재계 관계자는 "글로벌 산업계가 제조업과 IT업계의 융합으로 전환기를 맞으면서 우리 기업들의 미래 먹거리 선점은 어느때보다 중요한 때"라며 "이번에 발탁된 3040대 임원들은 주요 기업들이 미래 먹거리 경쟁력 강화와 새로운 조직 문화의 변화를 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