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코로나 방역에 구멍난 서울시

"오세훈, 서울시 코로나 방역지원 축소하더니 꼴 좋다. 시장 때문에 서울시에 코로나가 더 확산돼 방역에 애쓰는 간호사, 의사들 힘들어졌다. 책임지고 다시는 정치한다 하지 마라"

 

지난 17일 서울시청에서 50명이 넘는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했다는 기사에 달린 댓글이다. 서울시의 방역 상황은 오세훈 시장이 진두지휘한 후 나빠졌다. 서울시가 20일 발표한 코로나19 주간동향에 따르면 지난주(12월 12~18일) 서울시 확진자는 총 1만8794명이었고, 감염경로 조사 중인 사례는 전체의 52.1%, 확진시 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은 65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20.1%, 사망자수는 163명이었다.

 

오 시장이 당선돼 시청에 오기 바로 직전인 3월 28일~4월 3일 서울시 코로나19 확진자는 1079명으로 지금의 17분의 1 수준이었다. 감염 경로 조사 중인 케이스는 전체의 29%, 65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18.3%, 사망자수는 6명으로, 시장이 바뀐 후 각각 23.1%포인트, 1.8%포인트, 27배 폭증했다.

 

오 시장은 4·7 보궐선거 유세 당시 코로나 방역 실패의 책임을 현 정부의 탓으로 돌렸는데 이쯤 되면 본인의 무능을 인정할 때가 됐다. 그때도 지금도 문재인 정부가 집권하고 있는 상태이고 달라진 건 시장뿐이기 때문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2018~2021년 서울시립병원 정원 과부족 현황' 자료에 의하면 8개 시립병원의 간호사 정원 부족 인원은 감염병 사태 전인 2018년 37명에서 작년 97명, 올해 11월 기준 172명으로 4.6배 급증했다. 같은 기간 시립병원 간호사 1인당 월평균 초과근무 시간은 9.6시간에서 15.5시간으로 1.6배 늘었다. 시장이 바뀐 후 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더 악화된 것이다. 이럴 거면 후보시절 간호사협회와 가진 간담회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을 검토하고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하겠다"고 약속하며 눈물은 왜 흘린걸까? 기자는 지난 4월과 8월 기자수첩에서 오세훈 시장이 서울시 방역을 제대로 지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으나 달라진 게 하나도 없다.

 

본진인 서울시청이 10번 넘게 뚫린 것만 봐도 서울시의 방역이 얼마나 허술한지 알 수 있다. 특히 오세훈 시장이 수장으로 있는 짧은 기간 동안 시청에서만 2번의 집단감염이 터졌다. 지난 7월에는 동작구 사우나에서 시작한 감염이 시청으로 퍼져 청사에서 21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이달 7일 직원 4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이래 시청에서만 50명이 넘게 감염됐다. 그럼에도 시는 시민들에게 공개하는 코로나19 발생 현황 자료의 '市 주요 발생원인별 현황'에 서울시청 관련 항목을 쏙 빼놓고 발표해 사람들의 눈과 귀를 가리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