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대한민국 산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라는 불확실성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전 세계적으로 위드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을 추진했지만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잇따른 등장에 세계 경기는 또다시 위축됐다. 이에 산업계는 비대면 시대에 맞춘 다양한 사업 전략을 통해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높였다. 올 한해 산업계 이슈를 정리해 본다. [편집자주]
올해 국내 완성차 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후폭풍으로 어는때보다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로 자동차 산업이 위축되자 반도체 생산 업체들은 차량용 반도체 생산 비중을 줄이고 비대면 흐름으로 수요가 증가한 가전과 PC, 게임기 등으로 생산 물량 조절에 나섰다. 그 영향은 1년이 흐른 뒤 자동차 업계를 강타했다. 자동차 수요는 살아났지만 생산 비중이 조정된 차량용 반도체는 수요에 맞춰 생산량을 끌어올리기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미래 세대와 지구를 위한 탄소중립 실현에 발맞춰 친환경차 전환에 속도를 높이는 등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쌍용차의 새주인 찾기는 올해 마무리 짓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차량용 반도체 품귀현상…한숨 깊어진 車업계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불어닥친 반도체 대란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다. 올해 초 완성차 업계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 문제에 대해 하반기부터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여전히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소비자들의 기다림은 길어지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파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기아의 경우 차량을 구매한 소비자가 인도 받기 까지 6개월가량 소요된다.
현대차와 기아는 차량용 반도체 대란으로 올해 초 상승세를 기록하던 판매량이 급격히 위축된 상황이다. 특히 올해 잇따라 출시한 신차가 국내외 시장에서 호평받으며 판매량 반등을 예고했지만 생산량이 따라오지 못해 한숨은 깊어지고 있다.
현대차는 3분기에만 세 차례 충남 아산공장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으며, 울산 4공장도 한 차례 가동을 멈췄었다. 아산공장은 연말부터 내년 2월까지 설비교체 작업을 겸해 휴업에 돌입한다. 기아 역시 오토랜드 광명(옛 소하리공장)이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빚었다.
현대차·기아의 해외 공장도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으로 위기를 맞았다. 현대차 미국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이 잇달아 셧다운되면서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지엠은 지난 2월 반도체 부족으로 부평 2공장 가동률을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이후 반도체 수급 상황에 따라 가동중단과 생산 재개를 반복했다. 이때문에 한국지엠의 수출을 이끌고 있는 소형 SUV '트레일블레이저'의 흥행에도 제동이 걸렸다.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자동차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 현상으로 경영 정상화에 발목이 잡힌 상태다. 쌍용차는 부분 변경 모델 등을 잇따라 출시하며 반등을 노렸지만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생산 차질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현재 쌍용차는 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이 장기화 되면서 내수 및 수출 포함 적체 물량만 1만 2000대에 달하는 등 적체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 르노삼성은 르노그룹의 지원으로 반도체 공급이 원활한 상황이다. 다만 르노삼성도 차량용 반도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연초 올해 판매 목표를 각각 416대(이후 400만대로 조정), 292만2000대로 도합 692만2000대로 수립했지만, 11월까지 실적으로 볼 때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지난 2015년부터 7년 연속 목표 달성 좌절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율주행 등 최근 출시되는 신차는 첨단 기술을 적용해 기존 차량보다 반도체 사용이 크게 증가했다"며 "차량용 반도체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을 만들지 못한다면 차량용 반도체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기차 등 친환경차 전환 가속화
올해 자동차 시장은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차로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자동차 생태계 변화가 본격화됐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올해를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다양한 라인업을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 5, 기아 EV76, 제네니스 GV60 등 올해만 3종의 신차가 출시됐다.
현대차·기아는 후속 전기차 시리즈인 아이오닉 6, 아이오닉 8, EV9 등의 출시를 예고하며 전기차 시장에서의 리더십 강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다만 현대차·기아를 제외한 완성차 중견 3사는 신형 전기차 출시를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으로 남는다.
르노삼성은 지난해 말 SM3 Z.E 단종과 함께 부산공장 생산라인에서 전기차가 사라진 상태다. 르노 트위지가 생산되고 있지만, 이는 초소형 전기차라는 점에서 일반 전기차와 가격이나 용도 측면에서 차이가 있고, 그나마 르노삼성 자체 생산이 아닌, 협력사 동신모텍에서 위탁생산하는 방식이다.
한국지엠의 경우 2022년형 볼트 EV와 볼트 EUV 출시를 준비했지만 배터리 모듈 문제로 생산을 중단하며 출시를 미뤘다. 최근에는 미국 GM본사가 쉐보레 볼트 EV 생산 중단 시기를 내년 2월말까지 연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출시도 불투명해졌다.
쌍용차는 지난 6월부터 첫 전기차 모델 코란도 이모션을 생산하고 있지만 아직은 유럽 수출 물량만 대응하고 있다. 국내 출시는 내년 초 예상하고 있지만 인수합병 이슈가 해결되지 않으면 흥행 성공여부는 미지수다. 쌍용차 인수 우선협상대상자인 에디슨모터스는 쌍용차를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명가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지만 인수 협상은 지지부진한 상태다.
특히 에디슨모터스가 쌍용차를 3048억원에 인수하기로 했지만 우려의 시선은 여전하다. 에디슨모터스의 자금력과 기술력에 대한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