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2021결산 금융지도]<4>리딩뱅크 경쟁 지속

(왼쪽부터)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각 사

KB금융그룹과 신한금융그룹의 '2021 리딩뱅크 레이스'가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다. 이들은 올해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에도 예상치를 뛰어 넘는 '깜짝 실적'을 기록 중이다. 금리상승기, 수익성을 나타내는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되며 이자이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은 '순익 4조 클럽' 가입도 확실시 되는 상황이다.

 

◆리딩뱅크 KB금융

 

올해 리딩뱅크 왕좌는 KB금융이 차지할 전망이다.

 

신한금융이 지난해부터 라임 등 사모펀드 사태로 관련비용을 처리하면서 4분기까지 비은행 부문에서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3분기까지 누적순이익은 KB금융이 3조7722억원, 신한금융이 3조 5594억원이다.

 

KB금융은 3분기 1조2979억원을 벌어 올 들어 누적순이익 3조7722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3분기 순이익은 7.8%, 누적 순이익은 31.1% 증가한 셈이다.

 

신한금융은 3분기 1조1160억원을 벌어 누적순이익 3조5594억원을 달성했다. 전년 동기 대비 3분기 순이익은 2.5% 감소했고, 누적순이익은 20.7% 증가했다.

 

금융그룹 당기순이익 추이/각 사

이들의 격차는 비은행 부문에서 벌어졌다.

 

KB금융의 계열사인 KB증권은 3분기 1689억원을 벌어들여 전분기 대비 10.1% 증가했다. KB카드의 순이익은 1213억원으로 같은 기간 9.0% 늘었다.

 

반면 신한금융의 계열사인 신한금융투자는 3분기 순이익이 446억원으로 전분기(1547억원) 대비 71.2% 감소했다. 라임 등 사모펀드 사태로 영업외 손실이 1분기 532억원, 3분기 829억원 발생하며 두 금융그룹의 격차를 더 벌렸다는 분석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금융과 신한금융의 4분기 순이익은 각각 7208억원, 7693억원으로 추정됐다.

 

다만 올해 순이익 추정치를 보면 각각 4조4625억원, 4조2983억원이다. 4분기에는 신한금융이 KB금융보다 순이익 규모가 클 것 으로 예상되지만 3분기에 벌어진 격차를 뒤집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모펀드 사태를 제외하면 신한금융과 KB금융의 실적은 박빙"이라며 "내년에는 이러한 일회성요인이 없는 만큼 두 금융그룹의 실적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수 있다. 코로나19 장기화 속 리스크 관리와 함께 은행-비은행 부문 시너지 확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왼쪽부터) 신한은행 쏠(Sol) 앱, 국민은행 스타뱅킹 앱/각 사

◆리딩뱅크 쟁탈전 '디지털 금융' 확대

 

KB금융과 신한금융의 리딩뱅크 경쟁은 '디지털 금융'으로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금융이 확대되면서 고객과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플랫폼 선점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권봉중 KB금융 상무는 지난 3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코로나19로 가속화된 금융거래의 디지털 전환 흐름 속에서 당사가 보유한 금융본연의 경쟁력을 부각시킴으로써 고객접접을 확대해 나가겠다"며 "자체 플랫폼을 고도화해 넘버원(No.1) 금융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KB금융은 지난 10월 모바일뱅킹 앱(APP) 'KB스타뱅킹'을 개편했다. KB스타뱅킹은 계열사마다 갖고 있는 핵심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제공해 그룹의 허브(Hub)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각 서비스를 위해 추가앱을 설치하거나 앱을 이탈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고객 이용률이 증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신한금융은 쏠(Sol)앱을 통해 은행과 카드사·증권사·보험사 등의 자산정보를 쏠앱에 모아서 관리할 수 있고 부동산과 자동차 시세, 현금영수증과 연금정보까지도 확인할 수 있게 했다.

 

이달에는 '땡겨요'라는 배달 앱을 통해 확보한 비금융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융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라이더(Gig worker) 대상 전용 대출, 가맹점 대출 등 다양한 여·수신 상품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노용훈 신한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는 "현재 신한은행은 '쏠(Sol)' 앱을 통해 100%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이 가능하도록 했다"며 "신한카드의 플레이(Play) 앱을 통해서는 그룹 통합페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배달앱, 러닝플랫폼 마이데이터 사업 등을 확대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