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 > 보도자료

직장인 77.2%, "한 번 이상 이직했다"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8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직 경험 관련 설문조사 결과./ 사람인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은 커리어 발전을 위해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최근 직장인 1813명을 대상으로 이직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응답자의 77.2%가 직장생활을 시작한 후 1회 이상 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 경험은 연차가 올라갈수록 높았는데, '9년차'(87.5%), '10년 이상'(85.3%), '4년'(83.3%), '8년'(81.8%), '5년'(81.7%), '7년'(80.8%) 순이었다. 1년 미만의 연차도 이직 경험이 절반 이상인 59.9%에 이르렀다.

 

이직을 한 직장인들은 평균 3회 이상 회사를 옮겨 다닌 것으로 파악됐다. 이직을 결심한 중요한 원인은 '연봉'(49.8%,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낮은 수준의 근무환경'(45.1%), '회사 성장성과 비전 부족'(34.1%), '워라밸 유지 어려움'(31.8%), '과도한 업무량'(31.7%), '무능력한 동료, 상사'(22.9%), '커리어 성장기회 부족'(19.6%), '고용 불안정성'(18%)이 뒤를 이었다.

 

이직을 준비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관심 회사 내부정보 파악'(42.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연봉협상'(37.6%), '경력기술서·포트폴리오 작성'(35.9%)이 그다음으로 꼽혔다. 평균적으로 이직까지 4개월 정도가 소요됐으며, 주로 활용했던 경로는 '취업 플랫폼'이 81.9%로 대다수였다. 이외에 '검색 포털'(24.2%), '주변 지인'(19.4%), '기업 자체 채용 홈페이지'(18.2%)라는 답변도 나왔다.

 

사람인 관계자는 "최근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입사제안부터 입사지원, 면접 준비까지 이직의 전 과정을 하나로 끝낼 수 있는 커리어 관리앱 '아이엠그라운드 더 레디'를 론칭했다. 인사담당자들로부터 이직을 제안받는 '러브콜' 기능을 제공해 조건에 맞는 기업과 공고를 찾아 다니는 수고를 덜어준다"며 "메신저를 통해 기업에 궁금한 부분을 직접 물어보고 빠르게 답변받을 수 있고, 면접 일정이나 입사 일정도 바로 조율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이후에도 이직을 시도했다는 직장인은 전체의 52.6%에 달했다. 이직 시 기업 선택의 중요한 기준은 '연봉'(43.5%), '워라밸'(14.2%), '기업문화'(13%)가 각각 1, 2, 3위를 차지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