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LG전자, 올레드 TV 기술 앞세워 'TV 명가' 리더십 강화…"삼성전자 합류 긍정적 요소 될 것"

LG전자 박형세 HE사업본부장이 4일 간담회를 열고 올해 TV 신제품 라인업과 사업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LG전자가 TV 기술 혁신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앞세워 'TV 명가'의 리더십을 이어간다.

 

LG전자가 올해 올레드(OLED) TV 사업 10년 차를 맞아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올레드 TV 명가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한다.

 

LG전자 박형세 HE 사업본부장이 2022년형 LG 올레드 TV 라인업을 공개하고 차세대 자발광(自發光) TV 시장 선도를 위한 사업전략을 4일 밝혔다. 박 본부장은 이날 올레드 TV 진영과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가운데, 시장을 주도해 온 압도적 1위 업체로서 시장과 기술에 대한 리더십을 기반으로 차세대 자발광 TV 경쟁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강조했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올해 올레드 TV 시장은 총 800만 대 규모를 이를 전망이다. 금액 기준으로는 140억 달러에 육박한다. 특히 올레드 TV는 1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이미 프리미엄 LCD TV를 넘어섰다. 소니, 파나소닉, 필립스 등 최상위 라인업으로 올레드 TV를 선택한 브랜드도 20개 이상으로 늘었다.

 

전 세계 올레드 TV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LG전자는 올해 올레드 TV 시장에서 97·88·83·77·65·55·48·42형에 이르는 업계 최다 라인업을 확보할 계획이다.

 

초대형 시청 경험을 원하는 프리미엄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올해 세계 최대인 97형(대각선 길이 약 246㎝) 올레드 TV를 라인업에 새롭게 추가됐다.

 

또 세컨드 TV나 게이밍 TV 수요를 적극 공략하기 위한 세계 최소 42형(대각선 길이 약 106㎝) 올레드 TV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차세대 올레드 패널을 사용하는 LG 올레드 에보(OLED evo)의 라인업도 지난해 '1개 시리즈 77·65·55G1 등 3개 모델'에서 올해 '2개 시리즈 11개 모델(97·83·77·65·55G2, 83·77·65·55·48·42C2)'로 대폭 늘린다.

 

2022년형 LG 올레드 TV 전 제품은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으로부터 ▲원작과 화면간 색의 명도, 채도, 색도 등을 평가하는 색충실도(Color Fidelity)와 ▲화면 밝기에 상관없이 정확하고 풍부한 색 표현 정도를 평가하는 컬러볼륨(Color Volume)을 모두 100% 충족한다.

 

LG전자는 올레드 TV를 필두로 한 자발광 디스플레이부터 QNED MiniLED, QNED, 나노셀 등 고색재현(Wide Color Gamut) LCD TV까지 현존하는 TV 디스플레이 기술을 폭넓게 활용하는 TV 풀 라인업을 운영한다. 특히 독자 고색재현 기술 '퀀텀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를 적용하는 LG QNED 라인업을 미니 LED TV인 LG QNED MiniLED뿐 아니라 일반 모델인 LG QNED까지 확대한다.

 

LG전자는 QNED, 나노셀 등 프리미엄 LCD TV에서도 초대형 위주로 제품 구성을 대폭 강화하며 올레드 TV뿐 아니라 LCD TV에서도 프리미엄 입지를 공고히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올레드를 앞세워 TV 폼팩터(외형적인 제품 형태) 혁신도 추진한다. LG전자는 TV 전체가 벽에 밀착하는 갤러리 디자인의 올레드 에보를 비롯, 최근 출시한 올레드 에보 오브제컬렉션은 화질은 물론이고 공간의 품격을 높여주는 디자인까지 동시에 원하는 수요를 겨냥한 제품이다.

 

박 본부장은 "LG전자는 F.U.N(First·앞선, Unique·독특한, New·새로운)의 관점에서 고객경험(CX·Customer Experience)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며 "이러한 관점에서 LG 올레드 TV의 차원이 다른 화질과 디자인을 앞세워 다른 TV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감동을 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지난 2013년 세계 최초 올레드 TV를 상용화한 이후 올레드 TV 고객에 대한 데이터와 노하우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확보하고 있다.

 

또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webOS는 개인화(Personalization)를 기반으로 진화해 고객이 TV 계정을 선택하면 그간의 시청 이력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콘텐츠 추천을 받아볼 수 있다.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돼 있는 두 대 이상의 TV 화면을 연동해주는 기능(일부 모델은 미지원)도 새롭게 적용한다.

 

특히 LG전자는 삼성전자가 올레드 시장에 합류할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박 본부장은 "공식적으로 삼성전자가 올레드TV 시장에 진입한다는 얘기는 들은 바 없다"면서도 "20개 이상의 브랜드가 올레드 캠프에 합류했는데 삼성도 가세한다면 시장과 생태계 확대에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쟁사 합류와 상관 없이 마케팅 전략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